[학술논문] 김정일 시기 이후 북한의 ‘인구재생산’과 영화 속 모성담론
...우수성을 부각시키는 데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 김정일 시기 북한은 적극적인 출산장려정책을 진행하면서 그에 부응하는 여성에게 ‘선군시대 모성영웅’이라는 명예칭호를 수여하였다. 하지만 ‘선군시대 모성영웅’의 영화적 형상은 다자녀 출산이 아니라 자녀의 사상적 교양자로서의 모성 역할을 강조하는 특징을 보인다. 자녀를 국가에 충성하는 군인 및 군인의 아내로 양육하거나 입양하는 ‘모성’을 칭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품은 체제 변화가 일어나는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제작되었다. 결국 ‘선군시대 모성영웅’을 재현하는 영화 제작은 인구 조절이 아니라 정권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 더 크다. 이는 여성이 가정과 사회에서 더 많은 부담을 지게...
[학위논문] 김정일 시기 북한영화의 젠더 담론 연구
...등이다. 이 담론들은 각각 민족 및 국가적 차원에서 기획되는 젠더의 다섯 가지 범주인 ‘생물학적 국민재생산, 문화재생산, 시민권, 군대와 전쟁, 노동’에 대입할 수 있다. 북한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형상을 이 다섯 가지 범주로 나누어 살펴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생물학적 국민재생산 범주에서는 ‘선군시대 모성영웅’을 제시한다.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인 출산장려정책이 진행되는 현실과 달리 영화에서는 자녀의 사상적 교양자 역할을 강조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자녀를 국가에 충성하는 군인 및 군인의 아내로 양육하거나 입양하는 ‘모성’을 칭송하는 것이다.
문화재생산 범주에서는 ‘조선민족제일주의’를...
[학술논문] 기념일의 경험과 문학적 표상: 북한의 국제부녀절 기념의례를 중심으로
...국제부녀절에 대한 역사적 기억과 일상의 경험들을 기념의례와 문학적 형상을 통해 고찰하였다. 언어적, 시각적, 청각적 기호가 공존하는 기념의례의 공간은 문화적, 정치적 맥락과 당시의 시대정신, 지배이데올로기를 보여준다. 1950년대 계몽의 기획은 운동적 성격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주체시대와 선군시대를 지나면서 국제부녀절의 원래적 의미는 탈각되고, 혁명역사를 전유하고 유일적 영도를 정당화하는 기제로서 작동하였다. 그리고 오늘날 북한은 모성영웅을 호명하며 낭만적 초월에 이르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이 기억하는 국제부녀절은 기념일이 함유하고 있던 운동적 방향과 이념성이 소거되어 있다. 이는 상위심급이 주도하는 의례의 성격과 일상의 감각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일상의 경험이 상위심급의 주도 하에 전파된 것임을 역설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