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판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체크리스트-민간인용(PTSD Checklist Civilian Version)의 신뢰도 및타당도 연구 :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임상적 함의를 갖는다. 즉, PTSD 선별에서 PDS 또는 DTS에 비해 장점을 지닌 PCL-C를 북한이탈주민에게 사용할 목적으로 표준화하고 절단점을 제시한 본 연구가 PTSD를 지녔을 가능성이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효율적 선별에 기여할 수있을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한국어판 PCL-C가 PTSD를지닌 북한이탈주민의 증상 및 치료 반응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증상의 추이에 따라 적절하게 개입할 가능성을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의 결핵 투병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수는 1990년 후반부터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2020년에 31,000명을 넘어섰다. 북한이탈주민의 결핵환자의 비율은 2003년 1.5%, 2010년 2.5%, 2013년 5.4%로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들이 남한 입국 전 결핵 선별 검사를 통해 활동성 결핵으로 진단될 경우 항결핵제 복용과 임시 수용소 격리 등 방역 규정의 준수 대상이다.
질병(illness)은 병태생리학적 속성을 가질 뿐 아니라, 사회문화적 맥락 내에서 형성된 사회적 실재(實在)로서 존재한다. 결핵 또한, 호흡기 비말로 전파되는 질병으로 취약계층에서 흔히 발생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낙인 등 제도적, 문화적 요소들이 영향을 받는다. 특히 결핵을 진단받은 북한이탈주민은 남한 이동 경로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