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은 현지지도에 나타난북한의 상징정치
... 특히, 3대 세습자 김정은은 활발한 현지지도를 통해 상징적 이미지를 구축하고 이를 정치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김정은의 현지지도는 광범위한 지역을 포괄하며 다양한 인물들과 접촉한것이 특징이다. 젊은 지도자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적극적인 현지지도 행보를 이어가는 것이다. 또한 자신이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정책과 관련된곳을 여러 차례 방문하는 경향도 보인다. 김정은의 현지지도를 통해 나타난 상징성은 크게 네 가지로 분석된다. 첫째, 권력 정통성 확보를 위한상징정치, 둘째, 관광정책과 선전전을 통한 상징정치, 셋째 과학기술우선정책 추진의 상징정치, 넷째, 애민적 지도자 이미지 형성을 통한 상징정치이다. 폐쇄적인 북한을 예측하기 위해 북한이 연이어 공개하는 최고지도자의 현지지도 속의 숨은 상징성 분석이 중요하다.
[학술논문] 북핵의 정치적 효과와 대남전략: 비대칭적 상황에서의 전략 추진
...때 정치적으로 효용가치가 높다. 본 논문은 이같은 가정에 입각하여 한국은 핵을 갖고 있지 못하면서 미국의 확장억제 전략에 의존하고 있고, 북한은 핵의 실전배치를 끝낸 상황에 적용할 때, 북한 역시 핵보유를 통한 정치적 효과를 한반도에서갖게 된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북핵 보유는 국제정치적으로 기존 핵보유국들만큼 큰의미를 갖지는 못하지만 대남 및 대미 선전전에 있어 정치적 효과를 충분히 가질 수있는데, 그것은 구체적으로 ‘핵 공갈’과 미군철수를 위한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북핵 보유와 이를 통한 정치적 효과 발휘는 북한의 대남전략 구사에 더욱 폭넓게 활용될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남 우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북핵은 이 점에서 양면성을갖는데, 핵무기의 위력 과시와 ‘비대칭전’...
[학술논문] 북한 문학의 전쟁과 행복 -195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
...‘이상한 행복’의 기원을 1950년대로 소급하고, ‘사회주의 건설 투쟁에서의 행복’과 ‘사회주의 건설 이후의 행복’이 갈등ㆍ공존하는 가운데 점차 전자가 우세종이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한국전쟁기의 남북한 삐라를 비교하면서 ‘행복’의 관념과 정서가 선전전ㆍ심리전에서 사용된 양상을 살펴보고, 이어 1950년대 북한 문학에서 ‘행복’이 표제화된 소설(황건의 「행복」 등)과 소련 문학 번역작 중 ‘행복’을 표제로 삼은 소설(빠블렌꼬의 『행복』과 할렘스끼의 「행복」)을 대상으로 하여 ‘행복’의 (재)의미화 과정을 고찰했다. 특히 한국전쟁으로 인한...
[학술논문] 1958년 북한 발(發) ‘고아 구제’ 담화와 남한/일본에서의 북한행 역진 - 한국전쟁과 고아 심리/선전전 ①
이 글은 부제에서 시사되듯, 한국전쟁과 고아 심리/선전전의 첫 번째 글에 해당한다. 냉전을 대리한 한반도의 열전/내전은 폐허 위에 수많은 고아들을 남겼다. 한반도의 파괴상을 시연했던 이들은 전시와 전후 재건기에 여력이 못 미친 남북한 당국의 적극적인 협조 아래 진영의 역내를 따라 글로벌한 이산/이동을 하게 된다. 남한과 달리 동구(東歐) 사회주의 형제국에 맡겨진 북한의 전쟁고아들은 위탁교육을 명분으로 집단적인 ‘이산/이동의 대장정’에 올랐다. 1장의 심리전과 직결된 ‘너는 어디로’의 충성과 불경의 경계선은 글로벌한 이산/이동을 정치적 충성을 확약하는 “발로 하는 투표”로 여기게끔 했다. 따라서 동구(東歐) 사회주의 형제국으로 간 북한 전쟁고아들은...
[학술논문] ‘국제합법성(國際合法性)’의 경쟁: 남북 올림픽회담 분석(1984~1988)
...‘선전전(宣傳戰)’으로 전락했다. 사마란치 IOC 위원장은 1988년 올림픽이 더 이상 보이콧되지 않도록 남북 양측 대표를 로잔으로 초청해 회담에 참가시켰다. 소련 등 사회주의국가들이 서울올림픽 출전 의지를 내비치자, 사마란치는 기회를 틈타 남북한 양측에 외교적 압박을 가했고, 남북은 어쩔 수 없이 IOC위원회의 초청을 받아들여서 로잔 올림픽회담에 참석했다. 로잔 회담에서는 공동 개최와 경기 배분 등을 놓고 치열한경쟁이 벌어졌다. 북한은 올림픽 명칭과 조직위원회 등에 대해 ‘공동 개최’ 명분을 유지하면서 8개 종목 이상의 경기를 개최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한 반면 한국이 실질적인 양보를 원하지 않아, 로잔 회담은 네 차례 만에 결렬되었다. 판문점에서의 ‘선전전’이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