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기독교 NGO에 대한 선교학적 성찰
The church’s world propagation effort through Christian NGOs is a missionary strategy that appropriately meets the cultural trend of the globalization age. Among different kinds of NGOs, international development NGO is unique because one can effectively attain its missionary goal through implementation of regional development programs in the targeted region. Furthermore, NGOs are very useful
[학술논문] 디아스포라(Diaspora) 관점으로 본탈북민 이해와 선교적 의미
...동질성만을 강조하는 민족적 관점에서는 가질 수없다. 뿐만 아니라 이질성을 강조하는 문화적 관점 역시 마찬가지이다. 디아스포라 특성을 지니게 되면서 탈북민은 ‘ 고향이 북한인 한국사람’ 이라는 정체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2015년은 해방 70주년이고 분단 70년이 되는 해이다. 통일시대를 이루어가는데 있어서 탈북민에 대한 이해는 점점 중요해 지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교회는 탈북민을 보호와 도와줘야 할 대상으로만 인식해 왔다. 그러나 한국교회는 탈북민을 통일시대의 파트너로 인식을 바꾸어야 한다. 이를 위해 탈북민 디아스포라를 선교적 역량으로 바꾸는 일에 초점을 두고 사역을 해야한다. 이러한 선교적 교회는 통일시대 남북한을 사회적으로 통합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세계선교의 전초 기지가 될 것이다.
[학술논문] 조동진의 북한선교: 생애와 사상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그의 목회시기는 1) 어린 시절과 청년기 시절(1924년-1947년), 2) 신학생시절과 유학 시기(1948년-1959년), 3) 선교적 목회시기(1960년-1979년), 4) 해외 선교 및 북한선교의 시기(1979년-1995년)로 나눌 수 있다. 그는 한국교회에서 대중전도집회를 이끌었을 뿐만 아니라 한국교회 세계선교의 개척자로 활동하였다. 그를 통해서 아시아선교를 비롯한 제3세계선교의 전략들과 기구들이 만들어졌다. 또한 그는 북한선교에 가장 앞장섰던 인물이다. 당시 보주적 교회들과는 궤를 달리하며 민족교회론을 내세워 북한을 방문하고 김일성을 비롯한 북한종교당국자들과 잦은 만남을 통해서 분단의 벽을 허물기를 원했다. 그는 민족의 화해와 평화, 그리고 통일로 나아가는 길에 남과 북의 교회가 하나가 되어...
[학술논문] 충현교회 김창인 목사의 북한선교
김창인 목사는 북한에서 출생하여 한국기독교의 부흥과 세계 선교의 부흥을 인물이다. 그는 일제 시대의 기독교핍박을 이겨냈지만 북한공산주의자들의 핍박에 이기지 못하고 월남하여 남한에서 한국교회의 성장을 주도한 대표적 월남민 목회자가 되었다. 그러나 월남민기독인들은 북에서 경험한 반기독교적 정책에 반대해서 남한에서는 강한 반공주의자들이 되었고, 그로 인해 한국교회의 북한선교는 70년대 중반까지 진척을 이루지 못하였다. 김창인 목사는 이러한 반공주의를 선교적 시각으로 극복하고 충현교회를 북한선교를 앞장서는 교회로 변모하였다. 더 나아가 1980년대의 한국교회의 북한선교를 주도하는 목회자가 되었다. 그의 북한선교의 특징은 다음의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월남민공동체로 시작한 북한선교이다. 둘째, 기도집회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