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은 시대 북한 지리 교과서의 세계지리 내용구성 및 대외관 분석
...북한의 세계지리학습내용은 초급중학교 수준에서는 가까운 지역 및 국가를 다루고, 고급중학교 수준에서는 멀리 떨어진 지역및 국가를 다루는 등 내용구성의 계열화가 고려되었으며, 둘째, 학습내용은 대체적으로 자연환경과 경제적 측면이 대응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세계지리 학습은 궁극적으로 경제발전을 지향하는 북한 당국의 관심사가 반영된 것으로 파악된다. 셋째, 김정은 집권 초기에 개정된세계지리 내용은 천연색 시각자료가 대폭적으로 수록되었는데, 이는 교육발전의 측면에서 세계적인 추세를 따 라가려는 김정은의 의지가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넷째, 고급중학교 2학년 교과서의 세계지리 내용에 선정된 8개국은 북한과의 관계가 우호적이냐 적대적이냐에 따라 해당 국가의 이미지가 극단적으로 표현되었다. 요컨대, 북한의 세계지리 교육은...
[학위논문] 남북한 중등 지구과학 교육 이해를 위한 비교 분석 : 학습목표, 학습내용, 학습평가, 탐구경향성 중심으로
...학습내용 및 전개상의 특징을 비교 분석한다. 셋째, 남북한 중등 지구과학의 평가 대상 및 방법을 비교 분석한다. 넷째, 남북한 교과서에서 지구과학 내용의 탐구경향성을 비교 분석한다. 이와 같은 연구 문제에 따른 분석 대상은 남한은 과학1·2·3, 사회①·②, 통합과학, 지구과학Ⅰ·Ⅱ, 통합사회, 한국지리, 세계지리 과목의 교과서이며, 북한은 자연과학1·2, 조선지리1·2·3, 지리1·2 과목의 교과서와 교수참고서이다.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 지구과학의 학습목표는 지식과 이해 목표 중심으로 진술된 특징이 있었다. 남북한 지구과학의 교육목표는 지식, 기능, 태도를 중요시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