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기반 구축을 위한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 추진 전략
본 연구의 목적은 박근혜정부가 내세우는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과 관련하여 남·북한 간의 화해와 협력의 분위기를 조성하여 평화통일의 길로 나아가 궁극적으로 세계평화와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적 추진 과제에 대한을 내용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와 방법은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은 남·북한과 국제사회의 이해관계 반영 및 남·북한 협의 전략을 비롯하여 분야별 8대 추진 전략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남북한의 공동 이익과 세계평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8대 전략의 추진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발전과 지원이 절실하며, 남한 지역만이라도
[학술논문] DMZ일원 평화적 활용방안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반도의 평화 조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논문이다. 이를 위해 외국의 DMZ 활용사례를 분석해 보고 당장 북한과의 협력과 교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는 않더라도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기 위한방향을 찾아보고 이 분야를 다룬 선행연구를 통해 전문가들이 제시한 방안을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6가지를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평화공원 조성이다. 둘째, 세계평화대학 설립이다. 셋째, 제2 UN 묘지공원 조성이다. 넷째, 남북이산가족 만남의 장 조성이다. 다섯째, 남북 역사발굴연구센터 설치이다. 여섯째, 남북체육교류센터 설치이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방안은 일부의견에 불과하다. 선행연구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DMZ일원을 활용하여 평화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북한과 국제사회의 지지와 협력이 필요하며 추진과정에서...
[학술논문] 한반도 항구적인 평화 안정장치 구축방안 -DMZ지역을 활용한 유엔평화대학 설립 중심으로-
한반도는 전 세계에서 유일한 분단국이다. DMZ를 중심으로 남한과 북한이 분단된 상태에서 여전히 첨예한 대립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최근 들어 남·북간 교류와 협력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해 나가고는 있지만 근본적으로 남·북간 갈등구조를 완전히 해소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한반도의 특수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 역대 과거 정부로부터 현 정부에 이르기까지 많은 노력을 해왔다. 특히 박근혜 정부는 DMZ세계평화공원조성을 주요 정책으로 내세우고 미국의회, UN본부 등 국제사회의 지원을 요청하는 등 적극적인 노력을 펼쳤지만 북한의 미 협조로 실현되지 못했다. 현 정부들어 북한의 비핵화를 전제로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다각도의 협력을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 이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