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문학 연구와 중국 번인본
...출판의 ‘한글본’ 번인본과 소련문학에 대한 북한 ‘번역본’의 번인본으로 나누어 찾아보고자 했다. 그리하여 한글본의 번인본 본보기로서는 1950년대 북한의 친선문학이라는 새 담론 계발에 중심 원전이 될 종합시집 『전우의 노래』․『쓰딸린의 깃발』, 북한문학 교육의 수준과 속살을 엿볼 수 있는 석인해․김용은의 『문학 교수법』을 살폈다. 소련문학에 대한 북한 번역본 번인본의 본보기로 1950년대 북한의 초급․고급중학교 정전 작가로 다루어진 고리끼․마야꼽스끼․오쓰뜨롭쓰끼․숄로호브․알렉세이 똘쓰또이․파제예브의 것을 살폈다. 이어서 가장 방대한 러시아문학사인 『로씨야 문학사』를 소개해 600권을 넘는 1950년대 북한의 소련문학 번역본을 대상으로 삼은 번역사․‧영향사 연구를 제안했다...
[학술논문] 백석과 사회주의, 사회주의 문학 - 북한문학 속의 백석 Ⅴ -
...이념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는 어렵지만 분단 후 그는 사회주의 국가 북한에서 많은 번역 작품과 동시, 시, 문학론을 남겼다. 이 논문은 백석이 사회주의, 사회주의 문학을 어떻게 인식했는지를 살피는 것이 목표이다. 백석이 활동한 1962년까지 북한 문학계의 변화에 따른 백석 문학의 변화를 살폈다. 1950년대 중반까지 백석은 당 문예정책에 따라 다수의 소련 문학을 번역했고, 1950년대 중반에는 기존의 도식주의를 비판하던 북한문학계의 변화에 힘입어 자신만의 문학성과 예술성을 주장하는 평론과 시, 동시를 활발히 발표했다. 이로 인해 문학적 숙청을 당한 1959년 이후부터 1962년까지 그는 철저히 북한 문예당국의 요구에 응하는 작품을 써냈다. 백석은 사회주의를 인간의 도덕과 예의로 이해했으며 공산주의 사회를 품성을...
[학술논문] 북한 문학의 전쟁과 행복 -195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
...건설 이후의 행복’이 갈등ㆍ공존하는 가운데 점차 전자가 우세종이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한국전쟁기의 남북한 삐라를 비교하면서 ‘행복’의 관념과 정서가 선전전ㆍ심리전에서 사용된 양상을 살펴보고, 이어 1950년대 북한 문학에서 ‘행복’이 표제화된 소설(황건의 「행복」 등)과 소련 문학 번역작 중 ‘행복’을 표제로 삼은 소설(빠블렌꼬의 『행복』과 할렘스끼의 「행복」)을 대상으로 하여 ‘행복’의 (재)의미화 과정을 고찰했다. 특히 한국전쟁으로 인한 상실ㆍ희생을 이념적으로 보상하고 서사적으로 의미화하는 데 있어 제2차 대전 배경 소련의 소설ㆍ영화가 중요한 참조점이 됐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북한에서...
[학술논문] 식민과 냉전의 한국문학과 이산 -재러 한인 문학을 중심으로-
...기관지인 ‘조선신문’을근거로 창작활동을 하였는데 그 지향이 달랐다. 조기천은 고국과의 연계를 통한 고려인의정체성을 주장하였기에 열심히 조선어를 비롯하여 조선의 역사와 문화를 배우고 이를 바탕으로 창작을 하였다. 소련과는 다른 조선의 독자성을 강하게 의식한 것이다. 이에 반해전동혁은 고려인을 소련의 한 소수종족으로 간주하였기에 문명 소련의 문학과 문화를 후진 조선에 소개 전파하는 것을 사명으로 삼았다. 창작도 그 연장선에서 행했다. 조기천과전동혁은 이러한 대립은 당시 소련군과 함께 들어온 고려인 문학인들의 두 가지 경향이었다. 이러한 대립은 비단 북한에서뿐만 아니라 중앙아시아에서도 존재하였다. 이러한 대립은 조선어보다 러시아가 주된 문학언어로 되는 1970년대 이후 자연스럽게 해소되었고 고려인...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북한문학의 번역과 욕망 읽기 ― 『문학예술』의 번역 텍스트를 중심으로
이 연구는 한국전쟁기(1950~1953) 북한문학이 구성하고자 하였던 사회주의 문학의 전형과, 세계문학에 관한 인식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는 한국전쟁기 북한문학 잡지 『문학예술』 에 게재된 번역 글들을 조사하고, 그 특성을 해석한다. 이를테면 『 문학예술』에 번역된 소설은 당시의 북한문학이 모범으로 삼는 문학의 전형을 짐작하게 하며, 번역된 평론은 당시의 북한문학이 무엇에 관심을 갖고 있었는가를 보여준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우선 한국전쟁기 북한잡지 『문학예술』에 게재된 번역 글을 조사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이 작업으로 전쟁기 『문학예술』잡지에 게재된 번역 문학을 실증적으로 정리하고, 국가와 장르별로 분류하는 한편으로, 해석을 더한다. 이로써 전쟁기에 발간된 문학지 『문학예술』의 번역 텍스트들이 어떠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