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적응 연구
...아니라 시민역량2, 즉 주체적 소비역량이 모든 영역의 소비생활적응에 중요한 요인으로 드러났다. 인적자본은 소비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또한 소비자역량을 통한 간접효과로 의미있는 요인이었다. 특히 억양차이, 직업훈련 등 남한에서 형성된 인적자본의 효과가 컸다. 사회적 자본의 효과는 미미하거나 복합적이었으며, 경제적 특성은 소비자역량을 통한 간접효과만 나타내었다. 나이, 건강상태, 배우자 등 개인적 특성은 소비생활적응 영역에 따라 다소 다른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역량이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적응에 핵심적인 변인이며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적응 개입 시 반드시 다루어야 할 요인임을 시사하고 있으며,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적응을 돕기 위해 인적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역할을 확대하고,...
[학술논문] 소비생활문제 인식에 따른 북한이탈주민 유형화 및 소비자교육방안에 대한 연구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3만명을 넘어섰으며, 지난해 이루어진 남북정상회담과판문점선언으로 한반도통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과 통일 후 북한주민이남한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어려움과 관련된 교육이 빠르고 체계적으로제공되어야 한다. 남한에서의 생활을 시작하자마자 북한이탈주민들은 시장환경이 제한적이었던북한에서와는 달리 복잡하고 발달된 남한의 소비환경에 놓이게 되어 많은 혼란과 어려움을 경험하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에서 소비생활을 경험한 후 인지한 어려운 점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북한이탈주민을 유형화한 후, 각 유형별로 소비생활관련 교육의 내용과 방식에 대한요구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2016년 10월 중순부터 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