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 시대 문학교육의 한 방법, 간문화적 역량을 중심으로-황석영의『바리데기』 를 중심으로-
...『바리데기』를 대상으로 통일 시대의 문학교육을 위한 제재 가능성을 탐색하여 보았다. 이를 위하여 통일 시대에 필요한 역량인 간문화적 역량을 중심에 두고 이에 기초한 통일 시대 문학 제재의 선정 기준을 마련하였다. 먼저 간문화적 역량의 개념을 살피고, 이를 지식, 기능, 태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여기에서의 지식, 기능, 태도는 문학 자체에 ‘대한’ 내용이라기보다 문학을 ‘통한’ 교육 내용에 초점이 있다. 이러한 간문화적 역량에 기초한 통일 시대 문학 제재의 선정 기준 역시 지식, 기능, 태도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이 외에도 기타 고려해야 할 요소로서 남한과 북한 교과서 수록 여부와 작가, 장르를 추가하였다. 제재 선정 기능의 주요 내용으로는 한민족으로서의 공통적 역사...
[학술논문] <최척전>을 통해 본 북한이탈청소년을 위한 문학치료적 접근
본고는 <최척전>을 제재로 하여 북한이탈청소년을 위한 고전소설의 문학치료적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이다. <최척전>은 가족과의 이산과 재회를 주된 서사 내용으로 한다는 점에서 북한이탈청소년의 자기서사와 유사성을 지닌다. 이에 북한이탈청소년이 겪는 어려움을 내적 갈등 문제, 대인관계 문제, 사회 부적응 문제로 나누어 살펴본 뒤, 이를 기반으로 <최척전>에서의 서사를 분석하여 문학치료적 원리를 제시하였다. 내적 갈등 문제와 관련하여서는 등장인물의 내면적 갈등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최척과 옥영의 자기서사를 분석하고 두 사람의 자기서사를 ‘고독의 서사’로 정의한 뒤, 이를 북한이탈청소년의 내면적 심리 갈등과 관련한 자기서사와 연결하여 자신의 상황을 직면하고 닮음을...
[학술논문] 고급중학교 『국어문학』교과서에 나타난 북한 문학교육의 특성: 현대소설/영화 단원을 중심으로
...등의 시대적 사건들을 배경으로 하여 평범한 인물이 사회주의적 영웅으로 성장해 가는 모습과 그 활약상을 그린 작품, 과학기술이나 근면한 생활태도를 중시하는 작품들이 실렸다. 이러한 작품 선정은 북한의 역사관과 문학사에 근거한 것이다. 북한은 작품의 갈래에 관한 지식이나 작가의 문학적 업적에 관한 내용도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또 북한에서는 영화를 교육 제재로 상정하여 영화에 관한 다양한 학습활동을 도모하고 있다. 『국어문학』 교과서에서는 ‘지식 습득→문학작품을 매개로 한 다양한 언어 사용 활동→태도 형성’으로 학습활동이 전개되도록 하여 초등교육부터 중등교육까지 높은 학년으로 갈수록 문학을 중심으로 좀 더 심화 발전된 언어활동을 통해 통합적인 언어 사용 능력 배양하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