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스포츠 교류협력과 북한의 스포츠 정치: 김일성・김정일・김정은 시대 주요특징을 중심으로
... 리더십 제고와 대외적 정상국가의 지도자로 인정받기 위해 주요 국제체육경기대회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을 활용하여 경색된 남북관계를 개선하려고 노력하였으며,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통해 남북 소통을 실시하고 남북관계 개선과 발전을 위한 주요 정치적 도구로 활용되었다. 북한의 스포츠정치는 시대가 변화하면서 그 속성도 다소 변모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관계에 있어서 스포츠 교류협력은 경색된 남북관계를 다시 회복하고 발전해 나아가는 교두보 역할을 하였다.
[학술논문] 융합을 활용한 남북한 장애인스포츠 교류 활성화 방안: 운동재활 복지정책을 중심으로
...구분하고 과거와 현재의 남북한 장애인스포츠 교류의 현황을 분석하여 장애인스포츠 교류를 활성화 시키고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첫째, 남한 전역에 있는 장애인복지관 모형의 시설을 건립하여 지역사회복지의 거점 “장애인 운동재활 복지센터”로의 역할을 기능케 한다. 둘째, 남한의 단일화하고 제도화된 장애인단체를 통해 소통의 부재를 줄인다. 셋째, 남한의 장애인 운동재활 복지정책 중 북한사회에 단기간 내에 접목시킬 수 있는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 사업을 통해 장애인의 자립생활 및 사회참여를 이끌어 낸다. 끝으로, 북한은 국제기구나 국제단체를 통해 자국의 장애인 인권에 대해 국제사회의 비난을 저지하려는 의도를 역이용하는 전략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장애인스포츠를 통한 교류를 활성화하고 꾸준한...
[학술논문] 북한 엘리트 스포츠선수의 탈북과 한국 살아가기
...엘리트 스포츠선수의 탈북과 한국 살아가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 가운데 하나인 ‘내러티 브 탐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수와 지도자로 참여한 국제대회 에서 자신들과 다른 외국 선수들의 자유로운 문화와 삶을 경험하면서 그동안의 억압된 삶을 느끼고 자유를 알게 되었다. 둘째, 이상과 현실의 딜레마이다. 연구 참여자는 북한에서 사회적 지위와 계급 그리고 경제적 여유로 인해 다양한 정보와 주변 지인들의 도움을 받아 수월하게 북한을 탈출할 수 있었다. 이들은 한국에 입국하며 밝은 미래와 희망을 가졌지만, 국정원 조사와 하나원 교육과정 그리고 초기 정착과정에서 냉담한 한국의 현실을 경험하며 후회와 실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스포츠로 안정화...
[학술논문] 북한의 ‘남북 공동올림픽 개최’ 논의 참여 요인 분석: 1988년·2032년 올림픽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 면밀한 대응한 필요하다. 나아가 IOC 위원장 및 집행위원회와 긴밀한 관계 유지와 주변국의 협력도 중요하다. 그리고 토마스 바흐 임기 내(~2025년) 과거 IOC 중재‘1988 남북공동올림픽 개최’논의 경험을 중심으로 남북 간 다시 협력을 모색해야 한다. ‘1988 남북공동올림픽 개최’논의 과정에서 확인된 것처럼, 남북 간 신뢰와 양보, 배려를 바탕으로 IOC의 적극적인 중재 그리고 주변국의 강력한 협력과 지지가 남북공동올림픽 개최 논의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 메이저 경기대회인 올림픽 공동개최를 위한 작은 발걸음으로 남북 간 낮은 단계의 스포츠 교류협력과 높은 단계의 ‘2024 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부터 협력을 시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술논문] 니클라스 루만의 의미론 개념으로 본 동서독 스포츠 교류와 독일 통일의 관련성
..., 재미, 친교, 건강 같은 의미론을 응축시킴으로써 주민교류를 촉진하였기 때문이다. 넷째, 스포츠 교류가 통일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남북한주민교류를 촉진해야 하며, 주민교류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스포츠 교류가 스포츠 교류로서 지속되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