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제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 요인분석과 북한체제전환에 대한 시사점
본 연구는 1995∼2015년 기간의 국가별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전체국가와 41개 경제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 결정요인을 패널 시스템 GMM으로 실증 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경제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에 총고정자본형성, 무역, 경제자유지수, 인프라, 교육 등이 긍정적인 영향, 인플레이션과 정부소비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경제체제전환국의 경제성장 결정요인 중 국내투자를 반영하는 총고정자본형성과 경제자유지수는 경제체제전환국만의 차별적인 성장 요인이다. 총고정자본형성은 경제성장과 역 U자형의 비선형적 관계를 갖고 있다. 이는 국내투자 재원이 부족한 체제전환의 초기에 국내투자를 늘리는 것이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한편, 경제자유지수는 전체국가에서는 경제성장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이...
[학위논문] 동아시아 경제체제전환국의 경제개혁과 경제성장에 관한 세 가지 에세이 : 북한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신뢰를 구축하고 불확실성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에세이 “경제체제전환국의 개인 해외송금 유입과 금융발전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29개 경제체제전환국의 2000~2015년 기간 동안 해외송금 유입과 금융발전수준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동태적 패널모형을 설정하여 시스템 GMM 추정방법으로 추정한 결과로부터 보면 해외송금은 경제성장에 직접적으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해외송금과 금융발전 수준은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데 있어 대체관계임을 보였다. 따라서 해외송금의 유입은 금융발전수준이 낮은 경우에 경제성장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금융발전수준이 적절하거나 높은 경우에는 경제성장에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