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식민지 관제 역사학과근대 학문으로서의 한국역사학의 태동 - 진단학회를 중심으로
...학문분야가 결합했다. 찬조회원들은 당시 한국사회·문화의 대표적 저명인사들이었고, 통상회원은 학문후속세대였다. 진단학회의 학문적 지향은 일본의 관학아카데미즘, 조선학운동, 마르크스주의역사학과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해 있었다. 일본의 제국 아카데미즘의 영향을 강하게받았으나, 그 안에는 민족주의·마르크스주의·신민족주의 등 다양한 가능성과 잠재력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들의 학문적·실천적 지향성은 해방 후 시대상황에 맞춰 분출되었다. 일제하 진단학회의 이념적 지향은 뚜렷하게 표출되지 않았으며, 일본 관학아카데미즘과 경쟁할 수 있는 수준의 연구성과를 제출하는데 집중했다. 학회의 창립목적에 일제 관제역사학과 대결하려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었고, 7년간 한국어로잡지를 간행하며...
[학술논문] 해방기 남북한 아카데미즘의 국어/조선어 언어정책론
... 있다. 북한에서는 남한에서 벌어진 것과 같은 한자폐지를 둘러싼 논쟁이 희소했는데;그것은 공론장을 위시하여 서울에 남겨 두고 온 ‘국가적인 것’들이 새롭게 창출되어야만 했던 북한이라는 스테이트(state)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기존의 공론장;아카데미즘의 부재는 국책의 수립과 시행에 있어 남한에 비해 빠른 진도를 가능하게 했다. 남한에서의 한자폐지가 사회적 논란에 의해 좌초된 것에 반해;공론장이 약했던 북한에서는 별 잡음 없이 단행되었다. 오히려 북한학계에서 이슈가 되었던 것은 한자폐지의 다음 수순인 한글 풀어쓰기였다. 최현배의 한글 풀어쓰기 주장이 충분히 공론화되지 못한 데 반해;북한의 학계는 다양한 방면의 접근을 통해 그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했다. 그러나 한글 풀어쓰기로의 지향...
[학술논문] 보성전문학교에서 김일성종합대학으로 - 식민지 지식인 김광진의 생애와 경제사 연구
This article discusses the formation of academic career of the colonized, the appearance of the colonial academism and the recognition on Asia in Marxism historiography, by tracing the life of Kim Gwang-jin, a colonized intellectual.
Kim entered the school built by Government-General after being educated at the local school run by Korean. Kim was educated for being elite, but arrested d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