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 중․고령자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정부지원 인식에 따른 삶의 만족도
본 연구는 탈북 중․고령자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정부지원 인식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분석하여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 50세 이상 탈북자의 거주지역,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하여 층화표집한 215명의 전국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는 3.27점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탈북 중․고령자의 심리사회적 특성은 삶의 만족도의 4.6%를, 정부지원 인식은 8.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두 영역에 대한 개입의 중요성을 보여 주었다. 탈북 중․고령자가 정부정책이 지역사회정착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 할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PTSD가 낮을수록, 북한에서의 학력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경제적 만족도가...
[학술논문] 남북한의 심리적 통일을 위한 심리학적 고찰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의 심리적 통일방안의 중요성과 그 구체적 실현 방법, 남북한 정신건강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남북통일에 대해 김대중의 남북연방제와 3단계 통일론 등 여러 주장과 연구들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의 이질성과 동질성, 북한주민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정신건강, 남북한의 심리학적 통일에 대한 기존의 심리학적 방안과 연구, 한국의 정신보건 현황 등을 개관했다. 남북한 통일의 문제는 점진적으로든 갑작스럽든 우리민족에게 필연적으로 다가올 수 밖에 없는 역사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남북한 통일에 대한 정치경제적 준비도 중요하지만, 분단 60여년의 심리적 상처와 고통을 치유할 수 있는 심리적 차원의 대비와 연구도 매우 중요하다. 향후 남북한 통일에 대비한 정신보건 정책 마련과...
[학술논문] 고학력 지식인 탈북자가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현상
본 연구는 고학력 지식인 탈북자가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현상의 본질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했다. 본 연구에 동의한 7명의 참여자들은 북한에서 4년제 대학을 졸업하거나 혹은 그 이상의 교육을 받은 후 북한의 전문 분야에서 경력을 갖춘 자들로 한국에 입국한 이후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2차에 거쳐 진행된 심층인터뷰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했으며, 연구결과는 <고학력 지식인의 탈북동기>, <고학력 지식인 탈북자의 심리사회적 특성>, <고학력 지식인 탈북자의 남북한 사회 경험의 심리적 통합>으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첫째, 본 연구 참여자들의 탈북 동기는 지배이념과 현실 간의 갈등 경험, 생존을 위한 탈북선택으로...
[학술논문] 북한이탈 청년의 문화적응에 따른 군집유형별 문화적응 스트레스, 일상적 차별감, 남/북 공동체 지지 간 차이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진입기 북한이탈 청년의 문화적응 유형을 분류하고 그에 따른 심리사회적 특성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다차원 문화적응 모델을 기반으로 원문화 및 주류문화에 대한 문화지향성을 문화적 행동과 가치라는 두 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문화적응 하위유형을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20대 북한이탈 청년 94명(남: 38명, 여: 5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군집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이탈 청년의 문화적응은 세 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남한문화 행동이 적은) 부분 통합’, ‘(북한문화 행동․가치가 보통인) 부분 분리’, ‘(남한문화 행동이 우세한) 동화.’ 한편, ‘(남한문화...
[학위논문] 북한 출신 북한 이탈주민 전문상담사의 직무 경험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북한 출신 북한 이탈주민 전문상담사의 개인적 성장과 전문성 함양에 상담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참여자 자신이 북한 출신으로서 경험한 남한 삶의 적응 방식과 적응과정이 전문상담사의 직무 내용과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이들이 직무수행 시 경험하는 독특한 심리사회적인 특성은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탐색한 점에 본 연구의 고유하고 독특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낯선 사회에 정착해야 하는 이주민의 특성을 가진 전문상담사 자신이 같은 배경의 유사한 정착과정 경험을 가진 내담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 실무자로의 직무 경험의 특징이 잘 드러날 것을 의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결혼 이주자나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들과 다양한 고통의 배경을 가진 극복자(transcender)나 생존자(survivor)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