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韓國歷史民俗學의 모색과 궤적
... 역사를 모두 포함한다.모든 시기에 해당되는 통시대적인 민속도 있지만, 일정한 시기에 발현된 단기적인 민속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역사민속학의 발전과정에서 북한의 역사민속학이 중요하다. 북한민속학은 출발 단계에서부터 역사과학으로 위치지워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남북한 통합에서 역사민속학이 일정한 역할을 해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과 현장 구술의 제 관계도 주목하였다. 역사민속학은 쓰여진 역사와 쓰여지지 아니한 역사의 간극을 좁히려고 노력하기 때문이다.문헌과 현장 구술이 상호 결합되고 상호 보완된다면 역사연구에 많은 기여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