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식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의 전개
본 연구는 남북한 무용의 형태를 차별화하는데 결정적 요인이라 할 수 있는 대단위 집단 체조 예술인 아리 랑의 탄생과정과 배경을 고찰하고자 한다. 북한식 대집단 체조는 1930년부터 시작되어 2002년 아리랑이 완 성됨으로 형태적 결실을 이루었다. 대단위 집단 체조 예술인 아리랑은 10만 명의 출연자가 동원되는 세계 최 대 규모의 집단체조이며, 북한의 정치선전과 인민의 사상교육, 대외적 경제관광의 효과를 목적으로 공연되고 있다. 2002년 완성된 <아리랑>은 2005년 외부에 공개되기 시작했으며, 2007년 세계 최대 규모의 집단체조로 인정되어 기네스에 등재된 바 있다. <아리랑>은 서장과 총 4장 12경 및 종장으로 구성되었고, 1시간 20여분 의 초대형 공연물로 구성되어 있다. 그 구체적
[학술논문] 중국인의 북한관광 변화 연구 - 1980년대부터 2017년까지의 전개과정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
...시작된 1980~1990년대, 유치 노력과 갈등 가운데 변곡점을 마련한 2000년대, 단체관광목적지(ADS) 지정 이후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인 2010년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980~1990년대에는 변경관광 형태로 방북관광이 이뤄졌으며 단둥과 훈춘을 중심으로 신의주와 라진선봉 지역 등의 변경관광 코스가 다양하게 확대됐다. 2000년대 초반에는 아리랑축전을 활용해 성장세를 보이다 중반 들어 북핵실험 등으로 관광중단이 이어져 경색국면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후반에는 북한이 중국의 단체관광목적지 국가로 지정되면서 일대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는데 2010년대 들어서는 본격적으로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중국인의 방북관광 규모는 대체적으로 박스권 안에서 갈지자 행보를 보이면서도 그 박스권이 점차 우상향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