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풍수지리에서 본 고구려의 수도 안학궁성(安鶴宮城)과 장안성(長安城)의 도시계획 비교·분석
This paper analyzes and compares the city plans of the last two capitals - Anhwakgoong and Jangancastle towns of Goguryeo in Pyongyang, based on feng shui, topography of geomantic principles. In doingso, various historical documents and archaeological data were reviewed and analyzed. Finding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During the 4th, 5th and 6th centuries, China and surrounding
[학술논문] 한반도에서 초경계 도시네트워크의 의미
...평화 증진을 통해 한반도의 통일로 가는 징검다리로 여겨지거나, 붕괴 위기에 처한 북한을 지탱해 오히려 군사력 증강을 도와주는 일로 치부되었다. 이 글은 이러한 접근과는 시각을 다소 달리해, 부의 공간적 집중이 진행 중인 신개발주의시대 도시의 생존전략으로서 남북한 사이의 초경계 네트워크를 이해하고자 한다. 문명사적으로도 도시는 초경계 네트워크로 시작되었으며, 동아시아의 경제개발도 도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동아시아에서는 세계 다른 곳보다 더 늦게까지 국민국가가 네트워크의 확장을 가로막았지만, 최근 형성되는 초경계 도시네트워크는 동아시아 경제발전의한계를 극복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한반도에서 초경계 도시네트워크는몇몇 글로벌시티나 세계도시로 부와 자본이 집중되는 시대, 한반도의 생존전략이기도 하다.
[학술논문] 문익환의 평화·통일 사상 담론과 성찰
...더 나아가 국민들의생존권과 인권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그는 이를 바탕으로인권 운동과 민주화 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덧붙여 문익환의 평화 사상은 통일 평화로서, 통일 평화는 한반도에서 진정한 평화는 민족의 통일을 통해 가능하다고 보았다. 특히 민족 통일을 위해 전쟁을 방지하고 평화를 추구해 나갈 뿐만이 아니라, 한반도의 평화를 통해, 아시아와 세계 평화에 기여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문익환의 통일사상은 첫째, ‘통일은 자주하는 민족의 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민족 자주적 통일을 지향하였다. 둘째, 민주 통일병행론 입장을 견지하였다. 셋째는 통일은 좌나 우에 치우치지 않은 ‘중립적’ 입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고하였다. 넷째는 통일은 한반도뿐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