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권교체기 미중관계와 한미동맹
...G2로 성장한 중국은 지역적 역할 강화를 위한 공세적 외교로 인해 동아시아 국가들의 우려를 놓고 있다. 그 동안 테러와의 전쟁을 수행하던 미국은 이에 대한 반응으로 ‘아시아 중시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미중관계는 과거 협력과 갈등이라는 이중적 패턴의 변화가 시작되고 있는 것이다. 미중관계는 경쟁이 강화됨으로써 갈등의 공간이 확대되고 있다. 이는 정권교체기 등장한 미국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중국의 ‘신형대국관계’가 지닌 본질적인 속성에 기인한다. ‘아시아 중시정책’의 속성이 중국에 대한 견제를 내포하고 있는 반면, ‘신형대국관계’는 지역 패권국으로써 중국의 역할에 대한 확신이다. 동아시아 지역을 둘러싼...
[학술논문] G2 패권경쟁과 한반도 통일·안보환경의 변화
...G2 패권경쟁의 과정을 국제정치의 이론을 바탕으로 검토하고, 최근 패권경쟁의 실태를 살펴볼 것이다. 여기서 부상하는 중국의 의도는 지역적 강대국으로 성장하려는 목표를 바탕으로 현재의 동북아 안보질서의 변화를 추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기존 패권국인 미국은 중국을 봉쇄하기 위한 아시아 ‘재균형전략’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성장하는 도전국(중국)과 상대적 쇠락하는 패권국(미국)의 충돌이 동아시아지역에서 감지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지역 안보질서의 변화에 한국의 통일·안보정책은 미국과의 ‘편승’전략을 구사하고 있으나, 이에는 상당한 댓가가 따르고 있다. 한국은 남북관계의 단절, 중국과의 ‘사드배치’ 관련 마찰, 북핵의 고도화에...
[학술논문] 오바마 행정부의 외교⋅안보전략 평가와 신행정부 대외전략 전망
...평가를 바탕으로 대외정책을 수립해 나갈 것이기 때문이다. 오바마 행정부는 이전 정부와 달리 개입축소(retrenchment) 전략을 선언하며 출범하였고, 실제로 테러와의 전쟁 종결 선언 후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서 대부분의 미군을 철수하였다. 그러나 본격화되고 있는 중국의 부상에 대응하면서 전략적 중심을 아태지역으로 다신 돌린다는 ‘아시아ㆍ태평양[아태] 재균형 전략’을 선언하기도 하였다. 오바마 행정부 기간 동안 미국 내에서는 대외전략과 관련된 ‘역외균형전략’이 가능한 대안으로 논의되어 왔는데 2016 대선과정을 통해 이러한 방향으로의 전략 변화가 예고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신행정부 출범 후 역외균형전략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경우미국의 대한반도 정책은 상당한 변화를 보일...
[학술논문] 미국의 국가안보전략 변화와 미래전
본 연구는 미국의 국가안보전략에 있어서 주된 관심사와 미래전에 대비한 과제를 분석하고 미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의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주된 논점이 있다. 미국의 동아시아지역에 대한 국가안보전략은 세계평화와 경제적 번영이라는 세계질서 구축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는 패권유지라는 기본 틀 안에서 북핵 불용, IS 격퇴, 아시아 재균형 전략, 협력과 경쟁의 대상으로서 중국, 러시아의 패권주의 제동 등이 안보전략의 핵심이다. 대외정책의 기조인 전략적 인내(Strategic Patience)를 바탕으로 국제사회와 다자기구 그리고 동맹을 통한 분쟁해결을 행동강령으로 제시하고 있다. 현재의 동북아 국제안보정세를 분석해보면 크게 미국과 중국의 갈등과 협력이라는 이중성,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재래식 군사력...
[학술논문] 미국의 국가안보전략 변화와 미래전
본 연구는 미국의 국가안보전략에 있어서 주된 관심사와 미래전에 대비한 과제를 분석하고 미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의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주된 논점이 있다. 미국의 동아시아지역에 대한 국가안보전략은 세계평화와 경제적 번영이라는 세계질서 구축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는 패권유지라는 기본 틀 안에서 북핵 불용, IS 격퇴, 아시아 재균형 전략, 협력과 경쟁의 대상으로서 중국, 러시아의 패권주의 제동 등이 안보전략의 핵심이다. 대외정책의 기조인 전략적 인내(Strategic Patience)를 바탕으로 국제사회와 다자기구 그리고 동맹을 통한 분쟁해결을 행동강령으로 제시하고 있다. 현재의 동북아 국제안보정세를 분석해보면 크게 미국과 중국의 갈등과 협력이라는 이중성,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재래식 군사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