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대중예술 및 미디어 보도의 표현분석을 통한 협동농장 정책 연구: 분조의 주인과 로동신문을 중심으로
2000년대 이후 북한은 경제난을 타개하기 위하여 여러 경제 개혁 조치를 시행하고 있으며;농업 분야에서도 각종 농업정책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은 여전히 세계 최빈국 수준이며;식량 증산에 실패하여 만성적 결핍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의 대중예술(영화 분조의 주인)과 미디어 보도(로동신문)를 활용하여 북한 당국이 선전하는 농업 정책과 실질적인 성과를 미시적 단위(협동농장)에서 살펴본다. 통계와 수치자료에 기반하지 않은 정성적 분석 방법은 연구의 한계이지만;동시에 북한의 정량적 자료가 제약된 상황 하에서 북한의 농정(협동농장) 실태를 조망하고;변화를 추적하기 위하여 시도된 노력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분석 결과;영화에 반영된 과거(2012년)와 로동신문에 나타난 최근(2015~2020) 동안
[학술논문] SDGs 지표를 활용한 체제전환국의 유형 분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기초하여 체제전환국의 유형화 및 유형별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체제전환국 및 북한개발협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의 중요성: 체제전환국의 지속가능발전목표에 관한 연구는 북한개발협력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특히;세계적 표준인 UN SDGs에 따른 체제전환국의 유형화 연구는 북한의 SDGs 수립 및 이행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향후 체계적인 남북 교류협력 추진과 한반도 평화 구축에도 기여할 수 있다. 연구방법론: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SDG Index and Dashboards’로서 42개 체제전환국을 포함하며;분석 시점은 2015년이다. 분석 방법으로는 계층적 군집분석과 상관분석을 활용한다. 연구결과:
[학술논문] 지속가능개발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정책적 대응 분석: 농업 분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지속가능개발에 대한 북한의 내부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러한 인식이 어떻게 정책적으로 구현되었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선중앙통신, 로동신문 등 공간(公刊)문헌을 활용하여 지속가능개발에 대한 내부적 인식과 개념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자발적 국가 보고서(VNR)를 활용하여 농업 분야를 중심으로 정책적 대응을 분석하였다. 공간문헌 분석 결과, 2030 의제 체결 이후 북한의 지속가능개발의 대상이 경제에서 보건, 환경, 경제 등 사회 전반에 걸쳐 확대되었으며, 지속가능개발을 자신을 보호하는 논리로 활용하고 있었다. VNR 분석 결과, 북한은 지속가능개발의 개념을 주체적 입장에서 해석하고 있었고 회복탄력성을 국가개발목표에 도입하였다. 농업 분야 북한 SDGs의 한계는 글로벌 SDGs와 유의미한
[학술논문] 북한 쌀 시장의 지역 간 통합과 거래 구조
Since the 2000s, North Korea has been shifting away from a socialist planned economy towards a mixed plan-market system, marking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in its economic approach. This research concentrates on scrutinizing the North Korean consumer goods market, with a specific focus on rice. The study encompasses nine cities (five/four in Western/Eastern region), covering the period from January
[학술논문] 북한 농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전문가 인식과 남북 농업협력
본 연구는 북한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북한 농업의 지속가능성 관련 지표는 OECD의 ‘혁신, 농업 생산성 및 지속가능성분석틀’과 이를 활용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선정하였고, 지표별 성과 및 중요도에관한 인식조사는 국내의 북한 농업 및 경제·사회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계층화 분석기법(AHP)을 활용하여 조사 결과를 정량화하고, 이를 중요도-성과 분석(IPA)한 결과, 북한 농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영향요인별 중요도는 ‘실질경제성장률, 정책 추진 역량, 인프라(SOC), 총투자율’ 등 시장 및 제도, 일반경제 여건 부문에 속한 지표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북한의 지속가능성 종합지수는 42.9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