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핵확산금지레짐과 관련한 유엔안보리의 역할과 한계: 북핵사례를 중심으로
...유엔, 특히 유엔안보리가 대북제재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주요 행위자로 등장했다는 점이다. 북한 핵개발과 관련된 안보리결의안은 제1차 북핵위기의 단초가 된 북한의 NPT 탈퇴 재고를 촉구하는 결의안 825호를 필두로, 모두 7차례 채택되었다. 그러나 NPT 체제 또는 6자회담에 주목한 연구성과들이 다양하게 축적되어 있는 반면, 북핵위기 관련 행위자로서 유엔안보리에 주목한 연구성과는 많지 않은 형편이다. 이는 북핵위기에 관한 기존 연구성과와 더불어, 북핵위기를 다루는 과정에서 드러난 유엔안보리의 역할과 한계는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북핵위기를 다루는 과정에서 채택된 안보리결의안 분석을 통해, 탈냉전기 핵확산금지레짐과의 연관성 속에서 유엔안보리의 역할과 한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학술논문] 대북 경제제재의 실효성 분석: 식량지원 중단을 중심으로
2006년 1차 북한 핵실험으로 북핵문제가 발생한지 10년이 지났다. 총 다섯 차례의 핵실험을 단행한 북한에 대해, 국제사회는 UN 안보리 결의안을 통한 경제제재와 개별 국가들이 경제적 지원과 무역을 중단하는 방법으로 제재를 가하고 있다. 특히, 국제사회의 식량지원이 중단되면서 북한은 이전보다 더 심각한 식량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 연구는 식량지원 중단을 경제제재의 하나로 파악하고, 그 영향을 경제적 손실부과 단계와 정치적 행동변화 단계로 나누어 살펴본다. 또한, 식량수급면에서 상당한 손실을 입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는 원인을 북한체제와 관련된 북한 주민들의 정치적 압력문제, 그리고 제재국과 북한의 관계와 관련된 북한 지도부의 비용-편익 계산을 분석함으로써 밝혀내고 있다.
[학술논문] UN 안보리 결의안 제2270호의 대북제재가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안보리 결의안 제2270호의 대북제재가 북한경제에 미치는 실증 분석 결과는 단기적 충격효과만을 제시하고 있을 뿐이다. 석탄, 철광석 등 지하자원 수출 금지에 따른 외화수입의 감소는 북한수입의 위축으로 북한의 생산을 감소시키고 이는 다시 북한경제의 재생산능력을 약화시킴으로써 중장기적으로는 북한경제의 작동에 심각한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된다. 대북제재에 따른 경제적 난국을 돌파하기 위해 북한은 내부자원을 최대한 동원하는 노력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 내부자원의 효율적 동원을 위해서는 주민에게 경제적 인센티브가 제도적으로 제공되어야하며, 이를 위해서는 생산설비 등에 대한 사용권 또는 소유권의 제도적 보장, 즉 북한시장의 제도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안보리 결의안 제2270호의 대북제재는 북한의...
[학술논문] 편의치적 북한선박의 해상차단에 관한 소고
정전협정 이후 북한은 현재까지 지속적인 대남도발을 자행해 오고 있다. 2016년 실시한 제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시험 그리고 제5차 핵실험, 이듬해인 2017년의 제6차 핵실험까지 이어지는 북한의 도발에 따라 국제사회는 크게 반발하여 유엔안보리 결의 제2375호를 포함한 강력한 대북제재결의안들을 채택하였다. 이에는 북한선박의 위장 국적변경 관련 편의치적 선박에 대한 전례 없는 제재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북한이 더 이상 안보리결의에 따른 제재를 회피하지 못하게 하려는 의도가 담겨있다. 그러나 북한은 이에 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도발을 실시하고 있으며, 결의안 채택 이후 곧바로 외무성을 통하여 결의에 대한 전면배격 통보를 하는 등 위의 결의의 요구대로 행동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이는 지금까지
[학위논문] 보호책임(R2P) 및 군사개입관여의 한반도 적용 문제 분석
...한반도 통일이 이루어 질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현실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문제 제기를 시도했다
이를 위해 우선, 북한 급변사태 시 보호책임(R2P) 군사개입관여 가능조건인 정당한 이유, 올바른 의도, 최후의 수단, 비례원칙에 따른 수단, 합당한 국제기구에 의한 시행, 합리적 성공 가능성 등을 통해 분석해 보고 UN차원에서 안보리 결의안으로의 채택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중동의 민주화 사태와 같은 북한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R2P(보호책임: responsibility to protect)의 적용이 가능할 것인가?’, '보호책임(R2P)의 적용이 가능하다면 과연 우리 정부 주도의 북한 개입은 가능할 것인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