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관계와 양면게임의 논리: 금강산 관광사업 재개 문제를 중심으로
...마련’, ‘관광객 신변안전보장의 제도적 장치 마련’ 등을 사업 재개의 핵심쟁점이었다면, 중단이 장기화되면서 각종 남북관계 현안이 연계되어 문제의 실마리 찾는 것이 더욱 어렵게 되었다. 본 연구는 금강산관광 사업의 중단과 재개를 둘러싸고 남한 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찬반양론은 왜 금강산관광사업의 재개가 어려운지, 이를 가로막는 장애요인이 무엇인지에 관해 부분적 설명과 해석에 머물 수밖에 없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왜 이 사업의 재개가 어려운가’에 초점을 맞춰 분석을 시도한다.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이 사업의 재개문제는 남북관계와 국내정치의 관계라는 틀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이를 양면게임(two-level game)의 논리를 통해 설명하려고 한다.
[학위논문] 북미간 핵협상 분석 - 비대칭협상이론과 양면게임이론을 중심으로 -
...본고에서는 하비브의 ‘비대칭협상이론’과 푸트남의 ‘양면게임이론’을 원용하였다. 하비브의 ‘비대칭협상이론’은 약소국이었던 북한이 미국을 상대로 벌인 협상전략의 구조화 과정과 동태성을 파악하는 데 유효하였다. 총체적인 힘에서 열세였던 북한은 NPT 탈퇴, 1차 핵실험 등 ‘벼랑끝 전술’을 통해 이슈관련 힘에 있어 집중력과 통제력을 강화하였고 제네바합의, 9.19 공동성명, 싱가포르 북미공동성명 도출 과정에서 자신들의 요구사항을 관철시키려하였다. 또한 협상과정에서 드러나는 국내 게임(레벨 Ⅱ 게임)을 설명하기 위해 푸트남의 ‘양면게임이론’을 원용·적용하였고 북한과 미국이 국제환경 및 국내정치적인...
#김연식 #비대칭협상이론(의지·대안·통제력) #양면게임이론(윈셋 # win-set) #북미협상 #북핵위기 #중국과 한국의 중재 #제네바합의 #9 #19 공동성명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North Korea #the United Stat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n nuclear crises #Nuclear Negotiation #Asymmetrical Negotiation Theory #Two-Level Theory #Geneva Agreed Framework #North Korea?United States Summit #the September agreement #Joint Statement in Singapore
[학술논문] 북한의 개혁개방 전략과 국내정치적 동학- 구한말 조선과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북한이 미국과의 비핵화협상을 통해 개혁개방의 추동력을 확보하려고 나섰다. 이런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 구한말 조선과 북한을 비교했다. 북한과 조선은 많은 체제적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지도자의 개혁에 대한 의지, 개혁에 대한 사회적 요구, 그리고 주권 훼손 우려가 있는 결정을 능히 할 수 있는 정권적 안정성이란 측면에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렇지만 외부로부터 강제된 개혁은 국내정치적 부담이 클 수 있으며, 개혁 성공 여부가 정권의 안정으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북한의 김정은이 현재 벼랑 끝에서 국내 및 국외란 두 수준에서 힘겨운 양면게임(“two-level game”)을 벌이고 있으며, 그 결과에 따라 한반도 평화도 규정될 것이라고 결론짓는다.
[학술논문] 부상한 러북 신동맹: 지정학적 융합과 변화되는 게임진단
...행태로 궁지로 몰린 도전에 대한 공동의 해결책으로 러북은 신동맹 형성 이라는 셈법을 가동시키게 된 것이다. 이러한 셈법이 빨리 작동된 이유는 국제사회로부터 고립된 국가가 과도기 국제질서 속에서 높아진 공통분모라는 환경 속에서 협상의 절충점 모색이 용이하여 대내·외 청중 비용을 줄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기존의 양면게임 과 차별화된다는 점에서 ‘권위주의 양면게임 모델’로 개념화할 수 있다. 러북 신동맹이 구 조적 변수에 기인한다는 것은 이를 상쇄하기 위해 단기적 처방이 아닌 중·장기적 새판짜 기가 필요하다는 점을 주지시킨다. 따라서 본 논고는 거시적 대응책으로서 전략적 3축 구 상과 억제-외교 고강도 융합전략을 제시한다. 이 전략의 포괄적 접근법을 관통하는 핵심...
[학술논문] 북한의 대외경제관계가 남북경제협력에 주는 시사점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북한 문헌과 외교정책결정 이론을 활용하여 북한의 대외경제관계가 남북경제협력에 주는 시사점을 검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은 국내 및 북한 문헌 연구를 기본으로 한다. 연구 내용: 이 연구는 북한의 경제연구, 김일성종합대학학보와 양면게임이론, 전략적 삼각관계를 활용하여 북한의 대외경제관계가 남북경제협력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결론 및 제언: 북한은 2010년대부터 경제개발구와 과학기술교류를 통해 대외경제를 개선해 나가려 하고 있다. 경제외교와 관련하여, 남북한은 상대방의 윈셋 확대를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였으나 상황을 악화시켰다. 남・북・미 전략적 삼각관계는 남측의 정부 성향에 따라 안정적 결혼 상태와 로맨틱 삼각관계를 오가고 있으나 삼각경영관계가 되는 것이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