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전력법」 분석과 남북한 전력법제 통합방향
이 연구는 북한의 전력법의 분석을 중심으로 전력법제를 이해하고, 이를 남한의 전기사업관련법과 비교 고찰하여 남북한의 전기사업(전력) 관련법제의 통합방향을 살펴보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의 통일국가는 남북한의 법제통합으로 완성될 것이다. 그 중에 전력분야의 통합은 산업인프라의 구축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분단과정에서 남북의 전력은 극심한 차이를 보였다. 초기에는 북한의 주력 산업이 전력생산을 통해 뒷받침되었다면, 현실에서는 경제난에 의해 전력부문에서의 취약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그래서 남한과의 전력 격차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력법제는 전력의 생산, 이용 및 관리 등에 관한 내용을 규정하고 전력산업의 발전을 위한 규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력산업이란 한 국가의 기간산업으로서 국가발전의
[학술논문] 남북 재생에너지 협력을 위한 전략과 정책적 과제
...인근에 건설이 쉬워 대규모 전력망 없이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난방, 취사, 조명 등 주민들의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인도적인 지원도 가능하다. 또한, 한반도 에너지전환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서도 재생에너지가 협력의 중심이 될 필요가 있다. 북한은 2013년에 제정된 「재생에네르기법」에 근거하여 2044년까지 태양광과 풍력 등 5GW의 설비를 공급하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재생에네르기법」은 재생에너지 개발과 이용을 장려하고 재생에너지 산업을 활성화하여 경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인민 생활 수준을 높이며 국토환경을 보호하는 데 이바지하려는 목적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북한은 개마고원 일대, 서해안 지역이 풍황 자원이 우수하고, 평균 일사량도 남한과 비슷한 수준이어서 소규모...
[학술논문] 남북한 통합물관리체계(IWRM) 구축 및 과제
...남북간의 통합물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조직, 법률 및 규정 측면에서 분석한 후 이를 실현하기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남북간에는 전반적인 하천의 특성에는 큰 차이가 없는 조건을 갖고 있으며, 전체적인 조직과 법, 제도도 그 명칭 등을 제외하고 별 차이는 없었다. 다만, 북한의 국토환경보호성이 우리나라 환경부와 국토교통부를 부분적으로 합쳐놓은 것과 같고, 에네르기법이라는 특이한 법률을 운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남북한간의 통합물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가물관리위원회’ 설치를 통해 물관리 컨트롤타워를 만들어 남북간의 물관리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설계, 운영, 통제를 담당하게 하고, 유역별 ‘유역물관리위원회’를 통해 거버넌스 시스템을 만들어 내는 것이 필요하다...
[학술논문] 북한 재생에너지 법제와 국제 탄소 시장을 활용한 남북한 협력방안
...분석된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에너지난을 극복하기 위해 북한은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에 주목하고 관련 법제 및 정책을 마련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폐쇄성;정보의 부족;기술 및 자본의 제한;정치적가변성 등으로 인해 북한의 에너지 수급실태 및 전망에 대한 논의가 발전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재생에너지 현황을 살펴보고 재생에네르기법을 포함하여 관련 법제를 검토하였다. 또한 북한 재생에너지 확대를위한 남북한 협력 및 국제적 대응방안을 살펴보았다. 북한은 교토의정서상의청정개발체제(CDM) 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나 CDM 활용에 있어 한계를드러내기도 하였다. 파리협정 제6조가 규정하는 국제탄소시장 메커니즘은 남북한 모두에게 경제적;환경적 이익을 제공하는 제도로써 향후 남북한 환경협력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