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종편채널의 북한이미지 생산방식: ‘일상’으로의 전환, 이념적 정향의 고수
이 연구는 종편채널의 통일논의 탈북민 출연 오락프로그램이 생산하는 북한이미지와 그 이미지 생산방식을 검토한다. 언론이 생산하는 북한이미지에 관심을 둔 기존 연구는 보수적 성향의 언론이 북한의 정치ㆍ경제ㆍ군사 문제에 주된 관심을 두고 북한을 부정적으로 묘사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종편채널은 보수언론사를 모(母)회사로 두지만 탈북민을 오락프로그램으로 초대하여 북한의 ‘일상’과 문화, 음식, 밥상, 놀이 등을 조망한다. ‘일상’은 사적이고 사소한 것으로 보이며 정치적ㆍ이념적 시각에 상관없이 중립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종편의 탈북민 출연 오락프로그램이 북한의 일상적ㆍ미시적 측면을 부각시키면서 새롭게 생산하는 북한이미지에 주목했다. 채널A가...
[학술논문] 여성 탈북민에 대한 감정경제: 여성 탈북민 출연 프로그램의 생산 및 수용의 회로를 중심으로
이 연구는 여성 탈북민 출연 프로그램을 매개로 진행되는 여성 탈북민의 사회적의미작용의 회로를 생산으로부터 수용에 이르는 과정으로 입체적으로 분석한다. 이 시도는 최근 증폭되고 있는 여성 탈북민의 방송 현상이 이들에 대한 남한사회의 관계가 감정적이고 성적인 방식으로 전환, 확장, 심화되는 문화적 변화에조응한다는 입장에 바탕을 둔다. 그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종합편성 방송 채널을통해 부상하고 있는 탈북민 출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해당 프로그램의 생산자(제작진, 출연진)와 수용자(남한 시청자, 탈북민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했다. 인터뷰 자료 분석을 통해 생산 영역에서 제작자와 탈북민 출연자사이에 선의와 신뢰에 근거한 도덕경제가 형성되어 작동하고 있음을 밝힌다. 이러한 도덕경제는 가부장적이고 자본주의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