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00년대 초중반 북한의 영화와 TV드라마 속 여성 형상
...대상으로 북한 당국의 여성관 및 여성정책과 여성 생활의 단면을 분석하였다. 2000년대 초중반에 주목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북한 당국이 ‘강성대국 건설’이라는 낙관적 전망을 제시하며 ‘실리사회주의’를 표방하던 시기이기 때문이다. 이 시기 작품에서는 세대, 결혼 여부, 직종 등 다양한 차원에서 여성 젠더의 형상이 각기 다르게 그려져 있어 사회 현실의 단면을 일정부분 유추할 수 있다. 작품 속 여성의 생활태도를 당 정책 수행 여부를 기준으로 보면 당 정책에 ‘순응(결사관철·모범 수행·적극 도움)’하거나 ‘불응(사리사욕·보신 및 보수·일상 안주)’하는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렇게 세분해...
[학술논문] 탈북난민과 증언으로서의 서정 - 탈북시인 백이무 시를 중심으로
...묘파함으로써 북한주민들의 기아실태를 폭로하며, 두 번째 시집에서는 수용소의 반인권적인 폭력상황 등을 고발한다. 그의 시의 주제 양상은 인간성 상실과 인간 존엄의 해체, 생존자의 죄책감과 삶에의 좌절· 절망감 등으로 집약된다. 이러한 시적 발화 및 형상화는 북한의 실정을 예리 하게 적시하고 있다. 끝으로 백이무 시의 남은 과제는 첫째, 경험에 토를 둔 주제의 유형화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이다. 둘째, 시적 구성 원리나 미학 에 한 고찰이 요구된다. 셋째, 시 창작의 지속성 및 발표지면의 확장이 필요하다. 넷째, 도식화된 남한 예찬이나 북한 체제에 한 고발을 넘어서 무국적자로서의 또 다른 경험세계에 한 확장이 필요하다. 특히 여성-이방 인으로서의 정체성에 한 시적 형상 역시 필요한 작업일 것이다.
[학술논문] 김정은 시대 북한시에 나타난 ‘어머니’의 이미지-『조선문학』(2012-2019)를 중심으로
...양육자로 표상되고 그 역할을 최고의 기쁨과 자랑으로 삼는 사회주의 구성원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이는 최근에 더 대대적으로 홍보하는 ‘어머니 대회’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이 대회의 핵심은 ‘다산’인데 이는 심화되는 출산 기피와 출산율 감소를 혁명 세대의 감소로 인식한 북한의 조치일 것이다. 북한시에서 ‘어머니’는 다산의 어머니, 어머니 당, 김정숙 어머니로 드러나고 세 유형의 어머니는 모두 가부장제도 속 아내, 어머니의 역할에 한정되어 있는 한편 ‘혁명’, ‘수령 옹위’ 등의 사회주의 혁명의 보조자로 제시되었다. 이는 여전히 깨어나지 못하고 제한적인 북한의 여성인식, 젠더 인식의 일면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