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교육에서 통일시나리오의 교육적 함의
이 연구는 실현가능한 통일시나리오에 대한 검토를 통해 통일교육 내용과 방법에서의 긍정적 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일시나리오를 크게 합의형(점진적 진화에 의한 합의형, 급진적 합의형), 흡수형(북한붕괴에 따른 급진적 흡수형, 합의에 기초한 상황적 흡수형), 무력형(남침 및 재통일형), 신탁형(미국개입형, 국제사회 개입형, 중국개입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통일시나리오가 통일교육에 수용될 경우 다양한 통일준비와 역동성 있는 통일교육, 민족공조 편향성의 극복, 통일에 대한 상상력 및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함양에 기여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학술논문] 평화담론과 통일문제의 상호연계
...대북정책과 통일정책은 물론 우리의 통일교육에도 적지 않은 과제를 던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에게 통일은 어떠한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 통일정책과 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는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와 같은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최근 우리 사회의 평화담론이 지니는 의의를 남북한 통일과의 관계 속에서 성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역동적인 한반도 정세의 흐름 속에서 평화의 가치와 통일의 당위를 상호작용의 맥락에서 검토하고, 나아가 분단체제를 극복하고 한반도 평화 시대를 대비할 수 있는 통일정책과 통일교육에 대한 근원적 고민이 요청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평화의 가치가 충분히 반영된 통일교육의 방향을 재정립하고 이를 토대로 평화로운 통일공동체의 형성을 위해 요구되는 통일교육의 내용과 과제를 새롭게 구안하고 제시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