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과 한일관계의 과제 극복
...채 구조적 갈등으로 남았 다. 이후 1998년 김대중–오부치 파트너십 선언으로 문화 및 경제 협력의 저변이 확대 되었지만, 2018년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과 이에 따른 일본의 수출규제・한 국의 GSOMIA 종료 논란 등 갈등은 제도적・정체성적 모호성에서 기인한 구조적 반복 이었다. 특히 과거사 갈등은 일본 보수우파의 ‘역사전’ 전략과 동북아 국제질서와 관련된 중국의 역사공세와 맞물려 다차원적 국제관계 이슈로 발전하여, 단순한 정부 간 외교 차원을 넘어 시민사회・학계・지방정부의 참여가 요구된다. 아울러 외교안보 분야에서 한일 양국은 대북・대중정책 인식 차이를 보여 왔으며, 한국의 진보・보수 정권 교체에 따라 협력과 갈등의 패턴이 반복돼 왔다. 이는 동북아 안보 환경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