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들과 영어담당 교사들의 영어교육에 관한 인식연구
This study aims to delve into how dislocated North Korean adolescents in South Korea and their English teacher perceive English, current English education, and ideal English education in the future. Questionnaires with 87 students in an alternative school only for the North Korean adolescents, 10 classroom observations, 13 student interviews, and 5 teacher interview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학술논문] 예비영어교사의 영어 학습 지원 튜터링이 북한이탈 대학생의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는 북한이탈 대학생의 대학영어 수업에서의 어려움과 요구를 분석한 후, 예비영어교사의 튜터링을 통해 영어 능숙도와 영어 학습의 정의적 측면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튜터링을 시작 전, 100명의 탈북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희망하는 탈북 대학생은 예비 영어교사와 한 학기간 영어 학습 튜터링을 실시하였다. 탈북 학생들의 어려움과 영어 학습 요구는 양적 분석을 통해 실시하였고, 튜터링을 통한 탈북 학생의 영어 능숙도와 정의적 측면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탈북학생들은 영어 학습에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영어 학습 요구도는 매우 높았다. 또한 한 학기 간의 튜터링을 통해 그들은 시기별로 네 가지의 주된 변화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