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선제적 자위권의 정당성에 관한 연구: 유엔헌장 제2조 4항과 제51조의 해석을 중심으로
...대량살상무기의 등장, 특히 북한에 의한 핵위협의 일상화라는 시대적 상황에 유념하면서, 유엔헌장을 기초로 선제적 자위권의 정당성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첫째, 국제법의 검토 과정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의미상의 오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선제’와 ‘예방’이라는 용어를 둘러싸고 빚어지고 있는 혼란의 현주소와 그 원인을 점검해 봄과 동시에, 이들 용어에 대하여 폭넓게 수용될 수 있는 정의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둘째, 자위권의 기초가 되는 유엔헌장 제2조 4항과 제51조의 개념과 의미, 그리고 ‘Caroline호 사건’을 계기로 정착된 자위권 행사의 요건인 필요성, 비례성 및 임박성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시도할 것이다. 셋째, 선제타격의 법적 정당성이...
[학위논문] 비대칭동맹국가의 약소국 붕괴 시 개입에 대한 연구 : - 북한 급변 시 중국의 개입을 중심으로
...분석하기 위해 ‘잘 추측하는 방법(art of good guessing)’이라 불리는 휴리스틱 방법론을 차용하였다. 개입의 유형으로는 정치적, 군사적, 인도적 개입을 제시하였다. 정치적 개입은 이데올로기와 국가이익을 조건으로 한 지원 및 와해공작의 형태로 나타나며, 군사적 개입은 선제공격의 존재와 공격의 필요성이 있을 때 자위권이나 예방적 자위권의 행사로 나타날 수 있다. 인도적 개입은 자국이나 타국의 인도적 문제가 존재할 때 질서유지 및 자국민이나 타국민 보호 형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나온 가상의 시나리오에 따르면 북한 급변 사태가 발생하고 중국이 개입을 하게 되면 기존에 논의된 군사적 개입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개입이 가능하다. 중국의 핵심이익은 전통계승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