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향'으로서의 북녘, 통일을 위한 정서적 유대 공간으로의 가능성
이 글은 통일 과정과 통일 이후를 고려할 때 중요한 문제인 코리언의 정서적 통합을 위하여 ‘고향으로서의 북녘’ 문제를 논하였다. ‘북’과 관련된 것에 대한 적대감이 북녘에 고향을 둔 이들에게 이산의 아픔을 가중하고 있는지를 탈북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남한사회의 북에 대한 적대감 내지 거부감은 고향을 그리워하는 탈북민에게 질책과 비난으로 이어지기 쉬웠는데, 그러한 민낯의 감정들은 인터넷공간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그리고 탈북민들의 망향의식은 탈북민이 주관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진솔한 마음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글은 인터넷공간을 중심으로 탈북민의 망향의식을 둘러싼 양쪽의 솔직한 이야기를 살펴보면서 ‘고향’을 중심에 둔 코리언의 정서적...
[학술논문] ‘주체사상 생명론’의 비판적 상황화 담론을 통한 북한 이탈주민 선교방안
최근까지 남한에 입국;정착한 북한 이탈주민 수는 3만 3천여 명에 이르며 탈북 러시가 줄었음에도 여전히 진행 중이다. 문재인 정부의 통일정책을 미루어 볼 때;북한과의 교류협력과 앞으로 남북한의 왕래가 지금보다 자유로워질 수 있다. 그러므로 북한 이탈주민을 향한 복음 전도는 매우 중요하지만;그동안 한국교회의 북한 이탈주민 선교는 큰 열매를 보지 못하고 있다. 그 주요 원인은 북한 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선교하는 사역자들이 이들의 세계관인 주체사상을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거나 공감을 위한 상황화 노력이 없이 일방적 선포방식을 취함으로써 복음이 거절되거나;이들의 내면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지 못함에 따라 효과적인 선교의 결실을 보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고 본다. 북한 이탈주민 선교의 일환으로 기독교의 생명론과 주체사상의 사회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