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駐베트남 한국 공관원 송환을 위한 신호게임, 1975-1980
이 글은 1975년 남베트남 패망 후 베트남에서 억류되었던 공관원들의 석방을 위한 한국 정부의 활동을 신호이론(Costly Signaling Theory)으로 설명한다. 남베트남 패망 이후 철수하지 못한 한국 공관원 8명이 외교관 특권을 인정받지 못한 채 임시혁명정부에 의하여 억류되었고, 이들 중 중앙정보부와 경찰청에서 파견된 공관원 3명은 1980년까지 베트남 형무소에서“반혁명”죄목으로 수감되었다. 수감된 공관원은 베트남 당국의 심문은 물론 2차례에 걸쳐 북한 요원들로부터 심문, 전향권유, 그리고 “타의망명”으로 표현되는 강제북송 위협까지 받았다. 한국 정부는 억류․수감된 공관원들의 석방을 위하여 외교적 통로와 비공식적 통로까지 활용하는 전방위 외교를 전개하였다....
[학술논문] 한국 국방예산의 소요와 배분에 관한 연구(1953-현재)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쟁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각 정부별 국방예산에대한 규모의 변화과정을 타 부문 대비 국방부문의 정책우선순위 변화요인, 국방예산의 규모와 규모의 적정성 및 배분정책 등에 대해 비교분석을 통한 차별성을분석하였다박정희 정부는 1960년대 말 월남패망, 미국 닉슨대통령의 구암선언(닉슨독트린), 일부 주한 미군철수 추진, 북한특수게릴라들의 대남한 후방교란작전 등 북한의 군사위협의 고조되는 상태에서 경제개발의 지속적 추진과 자주국방을 최대의 목표로 설정하여 추진하였던 바 한국 국방의 기초를 다졌다. 또한 한국군현대화 5개년 계획의 추진, 7・4남북공동선언 합의, 방위세의 신설 등 한국군 현대화 5계획을 강력하게 추진함으로써 대북한 열세전력의 확보를 위한 노력을전두환, 노태우 정부까지 지속하여 ’9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