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월북시인 박산운 시 연구 - 시집 『내가 사는 나라』를 중심으로
본고는 시집 『내가 사는 나라』를 중심으로 월북시인 박산운의 시세계를 살폈다. 총9부로 구성된 시집에는 1940년대〜1990년대 발표된 시작품 75편이 수록되어 있다. 본고는 이 가운데 1940년대‧1950년대‧1980년대 시를 중심으로 박산운을 둘러싼 전위시인‧월북시인‧북한시인의 키워드를 풀어 시세계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 시문학의 흐름 속에서 박산운이 어떻게 흡수되고 개성을 지켜나갔는지를 알 수 있었다. 첫째, ‘전위시인’은 해방기 신진시인의 탈식민주의적 기질로, 남의 나라가 되어 버린 조국 현실에서 새 나라 건설을 위한 박산운의 열망과 관계된다. 둘째, ‘월북시인’은 새 나라 건설의 열망으로 38선을 넘은 박산운의 능동적인 행위로부터 기인한다....
[학술논문] 신성한 수령'의 발명, '범속한 모성'에의 회귀―김상훈의 북한 시편 읽기
...시인의 사후 편편이 흩어진 시편을 모아 김상훈과 김훈으로 저자명을 따로 붙인 편집자의 구상과 의도를 살펴보았다. 이 과제들은 북한에서 발간된 김상훈 시집의 의미와 가치를 객관화하는 작업에 유용했다. 북한문학의 주요 과제, 이를테면 항일혁명의 전통계승, 사회주의 건설과 조국통일운동에 김상훈 시편이 어떻게 결속되는지를 밝혔다. 이것은 김상훈이 ‘월북시인’을 넘어 ‘통일시인’으로 입안되는 문학적 복권의 순간을 재구성하는 작업에 매우 유용했다. 그 기준점과 도달점으로서 ‘어머니’ 시편의 현실적이면서도 초월적인 위상을 함께 주목했다. 이를 바탕으로 ‘인내되고 유예된 귀향’의 진정성과 가능성이 조국통일의 궁극적인 완성과 연결됨을 살펴보았다...
[학술논문] 새 자료로 본, 재북 시기 오장환
오장환은 1947년 가을 월북하여 1951년에 죽었다. 4년에도 못 미치는 기간 낱책 두 권과 비평 1편, 시 28편을 발표한 것으로 알려진다. 2002년 『오장환 전집』이 마련되면서 확인한 결과다. 이 글에서 글쓴이는 새로 재북 시기 문필 활동 11편을 찾아 문헌지를 재구성하고, 그 대강을 살펴 오장환 이해의 바탕을 키우고자 했다. 논의는 둘로 나뉜다. 첫째. 기존 문헌지를 점검하여 바루고 더한 자리다. 시 「2월의 노래」 발표 시기를 5월에서 3월로 바로 잡고, 전집에 적었으나 올리지 않았던 시 「탑」을 알렸다. 나아가 시집 『붉은기』에 실었거나 다른 곳에 올린 시 가운데 모두 9편의 첫 발표 매체를 새로 밝혔다. 첫 발표와 뒷날 발표 작품 사이 변개가 큰 사실까지 짚어 앞으로 이루어질 연구 과제로 넘겼다
[학술논문] 국민가요 <눈물 젖은 두만강>의 ‘그리운 내 님’과 작사가 연구
...찾아다녔다는 주장도 설득력이 약하다. 마지막으로 김용호 단독(작사)설, 이시우・김용호 합작설, 한명천・김용호 합작설을 차례대로 살펴보았다. 검토 끝에 한명천・김용호 합작설, 요컨대 한명천이 1절을 짓고 김용호가 2절과 3절을 완성했다는 결론을 이끌어내었다. 그 배경으로 발표 당시에는 무명의 문학청년이어서, 분단 이후에는 북한의 유명 시인으로 명성을 얻은 월북 시인 한명천을 내세우기 어려웠던 남북분단이라는 상황이 있었다. <눈물 젖은 두만강>은 남북한이 함께 사랑하는 민족가요의 반열에 올라선 가요이다. 필자는 두 개의 ‘그리운 내 님’ 주장과 1절 작사가를 둘러싼 세 가지 이설을 정리했다. 그 결과, ‘그리운 내 님’과 1절 작사가가 제 자리를 찾았다고 생각한다...
[학술논문] 월북시인 김상훈・『통일을 불러』・주체문예
이 글은 월북시인 김상훈의 시집 『통일을 불러』의 문학사적 가치와 서정적 의미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 시집은 시인의 사후에 그의 미망인과 북한문단에서 함께 묶어낸 것이다. 시집의 주요 이념과 편집 방침은 김일성이 주창하고 김정일이 조직한 것으로 알려진 ‘주체문예’를 따르고 있다. 그러면서 1990년대 북한 사회를 미증유의 혼란과 고통으로 내몰았던 김정일 시대의 ‘고난의 행군’의 극복, 그 아들 김정은이 수행 중인 김일성의 ‘유훈통치’와 김정일의 ‘선군사상’에 대한 숭고화 및 의례화(儀禮化) 과정도 치밀하게 담아냈다. 연구자는 이 과정에 보이는 『통일을 불러』의 지나친 이념성과 전체주의적 성격을 밝히기 위해 『극장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