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 이데올로기로 인한 지식인의 좌절: 월북 국문학자 김삼불(金三不)의 삶과 행적
...점검할 때마다 항상 언급되는 중요한 인물이다. 그러나 “월북학자”라는 이유로 지금까지 생애는 물론 그의 연구 업적에 대한 의미 부여도 이루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이 글의 목표는 그의 생애를 복원하고, 해방 직후 남한과 월북한 뒤의 북한에서의 연구 업적을 검토하고 그의 위상을 찾는 것이다. 김삼불의 연희전문학교의 학적부와 동기생들의 증언, 『매일신보』를 비롯한 신문, 잡지에 실린 기사, 시인 정지용, 역사학자 김성칠, 국문학자 이병기, 이명선 등의 회고록, 그가 남긴 저작물에 의거하여, 생애를 출생에서부터 연희전문학교 졸업시기, 서울대학교의 편입과 본격적인 학문 활동 시기, 한국전쟁 때의 행적과 월북 직전의 활동, 월북 이후의 활동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가 거둔 학문적 업적을...
[학술논문] 북으로 간 국문학자 신구현: 경성제대 출신 독학자에서 주체문예학자가 되기까지
이 글은 월북한 국문학자 신구현의 삶과 학문의 궤적을 통해 근대 한국 지식사의 단면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12년에 태어나 2000년대까지 식민과 해방, 분단과 냉전을 가로지른 신구현의 일생은 근대 한국 지식의 굴절과 변형의 양상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 글은 우선 경성제대 시절 예과 11회 동기생들과의 독서회 활동, 졸업후의 조선어학회 경력과 임화가 경영한 학예사에서의 『역대조선여류시가선』 출판, 조선공산당재건운동 사건으로 투옥되었다가 출소하여 정양 중에 해방을 맞이한 신구현의 식민지 시기의 삶과 학술적 이력을 검토하였다. 해방 이후 신구현은 원산 노력자 정치학교교장으로 근무하다가 김일성종합대학 설립과 더불어 교수로 임용되었다. 임용 이후 그는 김일성종합대학교 교직원 세포위원회 위원장, 조선어문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