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대학생 학업중단 요인과 지원 방안 :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탐색
본 연구는 탈북대학생들의 학업중단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탐색하고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및 관련 교육지원 단체의 협조를 받아 휴학, 제적 및 자퇴 등 학업중단의 경험이 있거나 중단을 고려하고 있는 탈북대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중단의 위험요인은 학업 관련 요인과 건강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고, 보호요인은 사회심리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다. 위험요인인 학업 관련 요인은 전공 정보 부족, 기초학력 부족, 남북한 교육 문화 차이로 나타났다. 건강 관련 요인은 신분노출에 대한 불안과 염려, 열등감과 부정적인 자기 인식으로 인한 위축감, 미래에 대한 불안감, 우울감과 무력감, 음주 문제로 나타났다. 보호요인으로 나타난 사회심리 관련 요인은 사회적...
[학위논문] 韓·美 安保協力體制下에서 美國의 韓半島 危機管理戰略 硏究
.../>
둘째, 핵 및 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WMD)문제의 해결이다. 북한의 WMD는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라 동북아지역의 군비경쟁 촉발요인이 되어 지역안정을 크게 해칠수 있으며, 특히 9.11사태이후 미국의 反테러전쟁의 핵심 척결대상이 됨에 따라 한반도를 위기에 처하게 하고 있다. 이 문제는 한국안보에 실질적이고 시급한 현안이며 미국의 세계전략수행상 위험요인이 됨으로 한·미가 긴밀한 공조하에 압박과 보상(당근과 채찍)을 적절히 구사하는 한편, 핵 비확산과 미사일 문제에 공동의 이해를 갖고 있는 주변3국과도 긴밀히 협조하여 핵의 동결 및 최종적으로는 포기하도록 유도하고 미사일 개발을 저지해야 한다.
셋째, 북한의 내부분열 또는 체제붕괴등 우발사태에 대한 대비이다. 북한이...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범죄 예방을 위한 법교육 강화 필요성에 대한 소고
2024년 현재 약 3만 4천여 명의 북한이탈주민이 대한민국에 정착하고 있으며, 이들의 성공적인 사회 통합을 위해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이탈주 민의 법적 이해 부족은 범죄의 가해자 또는 피해자로 전락할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구조적 대응이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북한이탈주민 관련 법⋅정책의 실효성을 검토하고, 범죄 예방을 위한 실질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와 현행 법령 분석을 통해 제도의 구조적 한계를 파악하고, 미국, 영국 등 외국의 난민 정책 사례와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의 정책은 취업 중심의 교육과 경제적 지원에 편중되어 있으며, 법률 이해와 범죄 예방 교육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학술논문] 복합운송업체 및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활용한 남북철도(TKR)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복합운송업체들이 남북철도에 의한 물자 운송을 경 험해 보지 못했기 때문에 전문가와 TSR 혹은 TCR을 이용해 본 집단을 중심으로 인터뷰조사를 통해 전략적 개선방안을 도출하였 다. 먼저 남북철도 연결에 긍정적인 답변을 한 복합운송업체의 경우, 남북철도 연결의 선결 과제로 표준화된 관세행정을 제안하였 으며, 향후 남북철도의 연결은 한국이 동북아 물류 허브 국가로 발전하는데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반 면 부정적으로 응답한 복합운송업체들은 북한의 정치적 상황을 위험요인으로 꼽았다. 나아가 남북철도 연결이 물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모든 업체들은 운송거리 및 시간의 단축에 의한 기대효과를 가장 우선시 하는 반면 북한의 정치적 위험 및 운영상의 우려가 먼저 선행되어야 할 과제라고 응답하였다.
[학술논문] 자국 내 테러발생 요인 및 테러사건의 특성분석을 통한 테러발생 위험가능성에 관한 연구
...위험가능성을 예측하고 이에 대하여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적인 연구 자료로서 활용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 그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선행연구와 공신적인 통계 그리고 최근 4년간의 국제사회 테러사건 사례들을 분석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자국 내 테러발생 위험가능성의 위험요인에 대하여 살펴보고, 국제사회에서 발생된 주요 테러행위에 대한 사건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테러의 변화양상과 특성을 분석하여 자국 내 테러발생 위험가능성을 예측하고 테러발생 시 발생할 수 있는 테러의 유형과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결론: 이 연구는 자국 내 테러발생 요인과 최근 4년간 국제사회에서 발생되어진 주요 테러사례들을 분석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