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전쟁기 문학독본과 문학교육 ― 한국전쟁기 독본 연구 2
...사용된『조선현대시선』은 편집 원칙과 수록 대상에서 중고등 문학독본과는 일정한 차이점을 지니고 있었다. 단정 수립 이후 문학 정전의 형성이 이데올로기적 요청과 필연적인 관련성을 지닌다고 볼 때, 특히『조선현대시선』의 경우에는 월북, 재북, 입북시인을 수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분히 정치적이라 할 만하다. 비록 학회의 회원들에게 손에 넣기 어려운 시들을 소개하는 데 목적을 두었고 유인본으로 간행되었다 하더라도, 단정 수립 이후 작동된 정전 형성의 논리를 여지없이 허물어뜨리고 있었다. 이는 서정주의『현대조선명시선』이나 임학수의『시집』을 통해 에서 구축된 근대 시문학 정전텍스트와는 확연히 구분되는 자리다. 당대의 정치적 이념과 문학 재편 결과를 배제함으로써 온전한 근대시문학사를 구축하고자 한 노력의 산물로 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