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18대 대통령 선거의 북한 요인 분석
실증자료 분석을 통해, 지난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북정책과 같은 포괄적인 북한요인이 후보를 선택하는데 영향력을 발휘했는지 그 여부를 검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결과 ‘후보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북정책, 연령, 권역, 경제과제, 직업, 가구소득’ 순으로 나타났다. 의사결정나무분석(Decision Tree Analysis) 결과 ‘후보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세 가지 분석기법에서 공통적으로 ‘지지정당, 대북정책’으로 분석되었다. 새누리당 지지층은 박근혜, 민주통합당 지지층은 문재인을 지지했다. 그러나 무당파층에서는 ‘유연한 대북정책’을...
[학술논문]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북한 관련 위협인식 요인 예측
본 연구는 국내의 온라인 뉴스 사이트, 블로그, 카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게시판 등 인터넷을 통해 수집된 소셜 빅데이터를 네트워크 분석과 데이터마이닝의 의사결정나무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북한 관련 위협인식 요인에 대한 예측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네트워크분석(network analysis)과 감성분석(opinion mining)에서 북한관련 감정은 위협, 찬양, 합의 3개의 분류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관련 정책의 위협에 가장 영향력이 높은 경우는 ‘종북요인’이 낮고‘보수요인’이 높고 ‘진보요인’ 높은 조합으로 나타났다. 북한관련 국가안보의 위협에 가장 영향력이 높은 경우는 ‘NLL요인’이 높고...
[학위논문]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한 통일 후 북한 도시 토지이용 변화 시뮬레이션
...연구와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른 유효성 검증, 향후 북한 도시의 토지이용 변화 시뮬레이션 분석으로 구분된다.
도심화 패턴을 가장 유의성 높게 반영하는 모델을 선정하기 위해서 통계 분석의 일종인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머신러닝의 일종인 의사결정나무, 서포트 벡터 머신 알고리즘을 활용한 분석을 통해 토지이용 변화 추정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여 도심화 패턴 탐색을 위한 모델링에 있어 적합한 방법론을 선정하였다. 유효성 검증이 진행된 적합한 모델을 선정하여 북한 도시 데이터를 적용하여 향후 북한 도시의 토지이용 변화 시뮬레이션 분석을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 분석은 지리 정보 시스템, 통계 분석, 머신러닝 기법을 접목한 분석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진행되었던 토지이용 변화 요소에 대한 변수의...
[학술논문] 의사결정나무와 서포트 벡터 머신 모델을 활용한 토지이용 변화 시뮬레이션: 통일 후 북한 도시를 대상으로
본 논문의 목적은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한 통일 이후 북한 특정 도시를 대상으로 하여 토지이용 변화를 추정하는 것이다. 시뮬레이션 분석은 도시화 패턴 탐색을 위한 모델 적합도 연구와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른 유효성 검증, 북한 도시 토지이용 변화 시뮬레이션 분석으로 구분된다. 도시화 패턴 탐색을 위한 모델링에 있어 적합한 방법론을 선정하기 위해서 통계 분석의 일종인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머신러닝의 일종인 의사결정나무, 서포트 벡터 머신 알고리즘을 활용한 분석을 통해 토지이용 변화 추정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시뮬레이션 단계 및 기준 토지이용별 추정 정확도가 가장 높은 모델을 결합한 시뮬레이션 통합 모델을 구축하였다. 해당 모델을 활용하여 북한 도시(남포특별시)의 시나리오별 토지이용 변화를 추정하였다...
[학술논문] 20대 청년세대들의 남북한 통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예측하기 위한 변인 탐색: 의사결정 나무 예측 모형의 적용
...필요성 인식과 관계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175명이었다. 통일 필요성 인식을 예측하기 위한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한 결과, 20대 청소년들은 남북한 통일의 필요성 인식에 있어서 통일이 국가 전체에 이익이 되는 정도를 가장 먼저 고려하며, 통일이 국가 전체에 이익이 된다고 생각할수록 통일을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 다음으로는 통일이 자신에게 이익이 되는 정도를 고려하며 통일이 자신에게 이익이 된다고 생각할수록 통일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사회계층이동과 관련하여 자신을 포함한 주변인들의 사회계층이 가변적이라고 여긴다면 통일을 필요한 것으로 생각하였다. 의사결정 나무 예측 모형에 근거하여 남북한의 통일 필요성 인식 유형을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