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저개발국가의 보건의료 부패: 북한의 의약품 유통을 중심으로
...하기 위한 증빙서류를 떼러 갈 뿐 치료와 의약품 구입은 시장에 나가 약을 구입하고 복용한다. 이렇듯, ‘자가진단, 자가치료’의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북한 의사들은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를 위한 의약품을 구입하여 북한 내에서도 경제력에 따른 의료서비스를 받게 되는 ‘차별적 의료보건체계’가 성립하게 되었다. ‘자가진단 자가치료’와 ‘차별적 의료버선체제’에서 자연히 서비스접근을 위한 의약품 부패가 공식화되었으며, ‘결핵’과 같은 장기적으로 의사와 환자와의 관계가 요하는 전염성 질환에 대한 관리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의약품유통으로 본 북한 보건의료체제를 비추어봤을 때...
[학위논문] 북한 경제정책에 따른 의약품 유통 실태 및 변화과정에 대한 연구
...종사자들의 생계를 위해서 빼돌린 의약품들이 각 지역으로 유통되었다. 이러한 유통망은 처음에는 친척이나 지인에서부터 시작하였으며; 점차적으로 전문화되었다. 유엔(UN)산은 1995년부터 북한정부는 국제기구에 대북지원을 요청하였는데 이때부터 들어온 의약품들은 중앙 의약품 관리소를 통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되었지만 유통과정에서 간부 및 의료인들은 대부분 시장으로 의약품을 유출하여 생계를 유지하였다. 중국산은 화교나 사사 여행자를 통하여 의약품들이 국내로 유입되었으며; 북·중 국경지역부터 시작하여 내륙지방으로 확대되었다. 7.1 경제관리조치이후 유통이 발전되면서 전국적인 도매지인 평성; 신의주; 청진에서 의약품이 모여 각 지역으로 유통되었으며; 더욱 발달된 교통; 통신을 활용하여 의약품을 북한식 택배를 통하여 보내는...
[학위논문] 북한 결핵검진전략 비용-효과분석: 환자발견 및 진단 알고리즘을 중심으로
...차지하는 무증상자 비율(CH②), 무증상자라는 개인적인 특징(CI②)으로 인해 의료기관 미방문의 기제:반응(MB②)이 작동하면서 환자가 누락될 수 있음(O②)을 설명했다. 초기 프로그램 이론③은 환자 스스로 증상을 인지해 의료기관에 방문하는 수동적 환자발견에서(MA③) 1990년대 장마당 등장 및 의약품 시장 유통(CM③), 무상의료 기능 저하로 인한 의약품 유상 구매(CH③), 비공식 의료기관을 이용한 의약품 구매 행태 보편화(CI③)로 인해 의료기관 미방문의 기제:반응 (MB③)이 작동하면서 환자가 누락될 수 있음(O③)을 설명했다. 초기 프로그램 이론④는 환자 스스로 증상을 인지해 의료기관에 방문하는 수동적 환자발견에서(MA④) 구소련의 영향으로 발달한 결핵 요양소병동 네트워크 및 입원 중심 결핵 치료(CM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