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이브리드 전쟁(Hybrid War) : 새로운 전쟁 양상?
...안보환경으로 변화되면서 약자로 분류되던 국가나 비국가 단체들도 자신들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들을 과거 보다 용이하게 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들은 강자의 강점보다는 약점을 공략하여 강자로 하여금 자신들의 목적을 인정하도록 강요한다. 또한, 미래의 전쟁은 선형적이거나 단계적인 작전의 진행을 무의미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미국이나 NATO 등은 이러한 전쟁 또는 위협을 직시하고 이에 맞는 교리를 발전시키고 있다. 우리도 하이브리드 전쟁이론의 틀로 북한을 분석하여 적절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의지의 대결’인 전쟁에서 국민들의 의지가 통합되어 표출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국제사회의 지지를 확보하는 것도 전략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학위논문] 남북한 전시소설 연구 : 스토리 유형을 중심으로
...War in the view of only one side and the ideological and nationalistic confrontation that caused hostility between two different regimes through researching 'JUNSI MUNHAK'. This epistemology will give an important account of description for unification literature history, because it is a standard of judgment for the opposite and homogeneity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JUNSI MUNHAK'...
[학위논문] 韓·美 安保協力體制下에서 美國의 韓半島 危機管理戰略 硏究
...existence of military threats from North Korea, and a sound unification process is implemented under the firm ROK-US combined defense posture, there will come a day when unification becomes reality for Korea and its people. Unification process will necessarily move from current stage to peaceful cessation of status quo to finally construction of a single, unified nation. During the process, potential...
[학위논문] "목차 ⅰ 표목차 ⅳ 그림목차 ⅴ 논문개요 ⅵ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1. 연구의 범위 5 2. 연구방법 5 제2장 행정통합전략과 분석의 틀 7 제1절 행정통합전략 7 1. 행정통합이론 7 2. 남북한 통일환경과 수요 26 3
...providing motives for strengthening the sense of the Korean community.
Despite all the positive environment mentioned above, Korea's community-oriented education on reunification will likely have its limits considering the low level of confidence between the two Koreas and the dynamic relations among the surrounding powers. It seems worth evaluating whether the education stressing...
[학위논문] 統一論議와 葛藤構造에 관한 硏究
...and the gap between North and South has not only persisted but could even widen further. As long as ideological differences among Koreans persist, substantial progress on critical issues will not occur, nor will South Korea's internal conflict between various political and ideological groups die down. This paper concludes, however, that this can be made possible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