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간호학용어의 비교분석
남한과 북한의 간호문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능력을 제고하는 것은 통일 국가를 대비하는 간호계의 세계시민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남한과 북한의 국어정책과 간호학 용어에 대한 비교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북한의 일반 간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간호 관련 용어목록을 만들고 남한의 기본간호학 및 임상간호학 교과서에서 이에 해당하는 남한 용어를 찾아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의 편의상 영어 용어를 참고로 기재하였다. 남북한 간호용어의 비교 분석은 ‘한자어로 된 간호용어’, ‘순 우리말로 된 간호용어’, ‘외래어로 사용된 간호용어’, ‘서울말과 평양말의 차이로 달라진 간호용어’, ‘북한간호학의 특이성을
[학술논문] 탈북보건의료인의 국내 보건의료인 자격취득 지원방안
...제시하였다.
연구방법 : 현재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으로, 북한거주 당시 보건 분야의 정규교육과정을 이수, 면허를 취득하고, 보건의료직 종사경험이 있는 자 21명을 대상으로 개별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탈북보건의료인들은 국내 의사면허를 취득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 원인은 국가고시 응시자격 절차의 복잡함, 의학수준 및 의학용어의 차이, 경제적 어려움, 문화적 차이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 정부는 탈북보건의료인들의 정착지원에 대한 강력한 정책적 의지를 갖고 이를 위한 법률개정 및 재정적 지원을 해야 하며, 개개인의 연령과 경험, 그리고 전문직 특성 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지원체계를 도입해야 한다.
[학술논문] 남북 감염학 용어의 언어적 분석과향후 연구의 시사점- 『남북감염학용어집』을 중심으로 -
이 연구는 『남북감염학용어집』에 수록된 남북 감염학 용어의 언어적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의학 분야 전문 용어 연구와 남북 용어 비교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코로나19를 겪으면서 감염성 질환의 방어 체계를 구축하는 일이 인류의 큰 과제로 떠올랐다. 감염병은 영토의 경계와 무관하게 전파되므로 우리의 경우 한반도를 단위로 대비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같은 맥락에서 남북한 감염학 용어 자료가 구축되었고, 그중 선별되어 용어집에 실린 1,591개 항목이 분석 대상이 되었다. 남북 용어 모두를 대상으로 기원에 따른 어종 분석, 형태에 따른 복합어와 단일어 여부 분석, 고빈도 출현 형태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고, 남북 간 형태 대응 양상이 어떠하고 표기상 어떤 차이가 있는지 유형을
[학술논문] 남북 의료통합을 위한 준비: 남북의학 용어사전 편찬사업
It is known that there are wide disparities in the medical terms and language that medical professionals currently use in South and North Korea. How much chaos can be expected when people will be able to come and go freely unless there is an effort to lessen these gaps? To minimize medical mess in advance and to provide a better environment to strengthen collaborative exchanges between South and North
[학술논문] 완경기 탈북 여성의 건강관리 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국내 입국 후 기본건강검진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건강 문제에 대해 인지하게 되나, 경제적 부담, 경제활동의 유지, 그리고 북한과 중국에서의 경험을 통해 갖게 된 병원은 생사를 넘나드는 극한의 고통을 느껴야 가는 곳이라는 사회문화적 신념 등으로 병원 진료를 받는 것을 주저했다. 또한 이들은 북한식 말투와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이질감, 만연한 영어 및 의학용어 사용으로 인해 의료진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었고, 의료지원제도에 관한 정보의 부재와 신청의 복잡함을 토로하였다. 이러한 의료서비스 이용 장애 요인들로 인하여 의료정보 습득, 질병에 대한 예방과 조기 치료가 이뤄지지 못하고, 주로 미디어나 주변 지인을 통해 전달되는 건강 지식, 추천 건강식품 복용, 그 밖의 운동과 식습관과 같은 건강증진행위를 통해 건강관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