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러시아와 신동북아 문화권
This paper is to consider current pressing issues in setting up New North East Asia Culture concept. Today, conflicts among countries in North East Asia are too intense to establish New North East Asia Culture involving China, Japan, Korea and Russia. As they have a different view toward each territory, their position on such issues as missile defense and North Korea’s nuclear problem also varies
[학술논문] 러시아 언론과 동북아3국의 문화·정치지형: 이즈베스티야(известия)를 중심으로
Данная статья посвящена вопросам о возможности создании новой пограничной культуры России и трех стран Северо-Восточной Азии. Проанализированы более четрех сот статей (с января 2012 года по декабрь 2013 года газеты 〈Известия〉) и проведены статистические анализы и подведены обобщение о данных на материлах статьи о Корее, Китае, и Японии. И если основа нового района в Северо-Восточной Азии является взаимопониманием
[학술논문] 『조선문학』(1970∼1979)에 게재된 1970년대 북한문학의 대표 단편소설 연구: 사회주의적 이상과 비판적 현실 인식을 중심으로
본고는 1970년대 북한 조선작가동맹의 기관지인 『조선문학』에 게재된 대표 단편소설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1970년대 북한문학이 ‘주체문학의 전성기’로서 일종의 ‘장편소설의 시대’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연구의 사각지대에 해당하는 단편소설 연구는 필요불가결하다고 판단된다. 본고에서는 1970년대 단편소설들 중에서 최학수의 「해빛 밝은 나라」, 성혜랑의 「혁명전위」, 정창윤의 「혁명소조원 김동무」, 김홍무의 「시대의 흐름속에서」, 리종렬의 「해빛을 안고 온 청년」 등 북한문학사에서 공식적으로 고평되고 있는 작품들을 분석한다. 뿐만 아니라 백남룡의 등단작인 「복무자들」과 남대현의 초기작인 「용해장의 젊은이」 등의 작품을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백남룡과 남대현은 197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