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 이산가족 문제에 대한 코리언의 문학적 상상력과 치유의 길
...남북 이산가족 문제를 코리언의 문학들을 통해 살펴보았다. 여기에는 이산가족의 아픔뿐만 아니라, ‘상봉’으로 확인되는 차가운 현실을 꼬집어내면서도 그 치유를 위한 사유의 지평들이 담겨져 있었다. 먼저 북한 문학사의 변화를 보였던 90년대 소설에서는 이산가족 상봉이 원(願)에서 한(恨)으로 급변하게 하는 생이별의 아픔을 그려내며, 통일 염원에 대한 ‘탈’이데올로기적 사유를 나타낸다. 그리고 중국 조선족 문학에서는 이산가족 상봉이 서로의 ‘마음의 장벽’을 확인하는 순간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면서 남과 북, 그리고 조선족 자신에게로 향한 성찰적 태도를 보여주었다. 남한의 문학에서는 핏줄보다 더 강렬하게 느껴지는 ‘낯섦’의 문제를 집어내고...
[학술논문] 분단 가족은 어떻게 재생산되는가 : 미수복지역 조 할머니의 삼대(三代)에 걸친 분단 가족 형성사
... 장녀의 호적을 얻었다. 하지만 조 할머니에게 재산을 넘겨주지 않으려는 이복형제들의 방해로 인해서 아버지와의 관계는 단절되었다. 이뿐만 아니라 셋째 딸 부부는 중혼의 문제가 있으며 맏아들과 두 명의 딸은 여전히 북한에 남아있다. 이처럼 조 할머니와 그의 가족은 북에서는 ‘월남자 가족’, 남에서는 ‘탈북자’와 ‘인정받지 못한 가족’으로 즉 한반도에서 ‘이중의 경계인’ 삶을 살았다. 본 연구는 분단이 남북 간 정치적 문제만이 아니며 남북 양측에서 자행되는 배제와 폭력의 양상을 띠고 가장 원초적인 사회적 관계인 가족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담았다. 본 연구에서는 ‘분단 가족’ 개념을 새롭게 제시하고 조 할머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