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교육훈련과 취업
본 연구는 여성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규교육과 직업훈련이 이들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교육훈련을 통한 취업촉진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거주 25세~60세 여성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로짓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남한에서의 정규교육과 직업훈련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연령계층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육훈련의 효과는 45세 미만 여성에게 집중되며, 45세 이상 여성에게는 교육훈련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45세 미만의 경우, 남한에서의 정규교육은 취업확률을 유의하게 높이는 반면, 직업훈련을 통한 자격증 취득은 취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직업훈련을 이수하였으나 자격증 취득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직업훈련 미이수자에 비해 취업확률이 오히려
[학술논문] 대북 지원의 원조효과성 제고를 위한 다자간 신탁기금 설립 방안과 과제
...본고는 국제협력을 통한 효과적인 대북 지원의 방안으로 다자출연 방식의 신탁기금(Multi-Donor Trust Fund) 설립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북한 신탁기금의 설립 절차와 운영・관리 방식을 모색하였다. 본고에서는 최근 상당한 변화가 있었던 신탁기금의 운용체제와 기금사업의 국제적 사례들을 검토하면서 유엔개발그룹(UN Development Group)이 주관하는 다자공여 신탁기금을 우선적으로 설립하여 북한 주민들의 생활을 개선하는데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밝히고 있다. 신탁기금의 조성은 원조조정과 정책협의를 통해 대북 지원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강화하는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북한의 국제금융기구 가입 이전에 남한과 관련국들이 자금을 출연하여 유엔개발그룹이 관리하는 다자공여 신탁기금을 우선적으로 설립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