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데탕트 이후 영화의 한국전쟁 재현 양상에 대한 연구- 더글라스 맥아더 혹은 인천상륙작전 관련남한, 북한, 미국 영화를 중심으로
...만들어진<인천>을 통해 복원된다. 이 영화의 보이지 않는 감독으로 활약한 문선명은 냉전기 긴장 완화를 지지하는 미국의 정책과 시대적 분위기를 비판했다. 그는 아시아와미국의 공조를 통해 공산주의를 척결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이 같은 생각은 <인천>의 팔미도 등대작전 장면에 그대로 반영됐다. 한편 북한은 <인천>이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고 봤고, 인천상륙작전은 아군(북한군)의 퇴로를 마련한 성공적인 작전이라고 주장했다. 이 같은 생각은 <월미도>에 반영되었는데, 이 영화에서 북한군은 인민성을 바탕으로 일체감을 형성하여 맥아더 장군의 5만 대군과 대결하며,종국에는 죽어도 죽지 않는 혁명적 낭만주의를 제시하게 된다. 이들 영화들은 모두다양한 관점에서 인천상륙작전과 더글라스...
[학술논문] 인천상륙작전을 다룬 남한;북한;한미 합작영화의 비교 연구:전쟁 양상 재현과 가족주의를 중심으로
...가운데 가장 중요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는 인천상륙작전을 그린 영화를 비교⋅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천상륙작전에 대한 남한 영화;북한영화;한미합작영화의재현등을서로비교하고대조하면서영화가그나 라의 시대적 분위기와 집단적 무의식을 어떻게 반영하는지 연구했다. 남한 영화에서는 전쟁의 주체가 남한군이고;미국과 함께 작전을 수행했다고 재현한다. 그래서 소재를 선택할 때에도 첩보전이나 팔미도 등대 작전;양동작전 영화 등을 주로 그린다. 이에 비해 북한 영화에 재현된 인천상륙작전은 지휘부의 수월한 후퇴를 위해 벌인 영웅적 전투에 대해 이야기한다. 북한 영화는 한국전쟁을 북한과 미국의 전쟁으로 그리고;남한군은 아예 등장하지도 않는다. 한미 합작영 화인 <인천>에서는 잔혹한 공산 세력에 맞서 싸우는 미국과...
[학술논문] 2010년대 한국 분단영화에 나타난 분단적대성 연구
...결과, 전쟁을 다룬 영화 <국제시장>과 <인천상륙작전>은 관객에게연민과 슬픔을 주된 감정으로 유발하며, 전쟁과 분단의 고통을 감정적으로체험하게 만들었다. 군사적 위협을 다룬 <연평해전>과 <백두산>은 공포와분노를 자극하여 관객에게 북한의 위협을 실질적으로 느끼게 했으며, 남북협력에 대한 복합적인 감정을 불러 일으켰다. 남북 첩보전을 다룬 <은밀하게 위대하게>, <베를린>, <공조>는 긴장감과 불신을 기반으로 관객의 감정적 반응을 이끌어냈으며, 협력적 서사와 불신이 공존하는 감정 구조를 보여주었다. 남남갈등과 민주화 운동을 다룬 <택시운전사>, <변호인>, <1987>은국가폭력과 억압을 통해 슬픔과 분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