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反식민주의 역사학에서 反역사학으로 - 동아시아의 ‘戰後 역사학’과 북한의 역사 서술 -
I named the series of historiographies in east asia, which have advocated the independence of former colonies referring to the historical materialism, as ‘post-war historiography’, and understood the historiography of North Korea in the context of them. From the first stage of nation building, North Korea started writing the history of Korea newly to overcome the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학술논문] 주체 사관에서 인민과 민족의 자리
식민지 시기 백남운의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은 민족이라는 보편적 주체를 추구함으로써 반식민주의 역사학의 성격을 분명히 했다. 북한 역사학은 반식민주의 역사학의 전통을 이어 일국사적 단선적 발전단계론에 입각한 역사 서술을 완성함으로써 세계사의 보편적 발전법칙이 한국사에도 관철됨을 보이고자 했다. 북한 역사학의 방향은 1960~70년대 남한과 일본의 한국사 연구에서 정립된 내재적 발전론과 상통하는 것이었다. 민족 해방과 사회주의 건설을 지향한 주변부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은 계급적 관점과 민족적 관점의 조화를 꾀했다. 이는 북한 역사학에서 당성의 원칙과 역사주의 원칙으로 천명되었다. 주체사상이 유일사상으로 떠받들어지고 김일성 유일 체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북한 역사학은 혈통적 민족 개념을 내세우고 경제 결정론을 넘어 인민대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