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번역가 김억과 임학수의 머리말-한시와 영문학 번역 계보의 성립 배경-
...앤솔러지는 여타 장르에 비해 번역가가 제한적이며 단행본 출판의 성과도 가장 취약하다. 그중에서 김억과 임학수의 번역시집은 뚜렷한 번역 의식과 일관성을 드러냈다. 초창기의 서양시 번역을 선도한 김억은 식민지 시기 최대 규모의 시 번역가다. 동시대의 영시를 번역한 식민지 시기의 마지막 앤솔러지 편집자 임학수는 영문학 정전의 번역을 통해 전문성을 획득했다. 근대 번역시집에서 가장 두드러진 성과를 보인 김억과 임학수를 통해 번역가의 목소리를 역사적으로 조명할 수 있으며, 식민지 시기에 한시 및 영문학 번역의 계보가 성립된 배경과 성격을 재평가할 수 있다. 김억은 시집의 머리말을 통해 구체적인 번역 방법론을 개진하면서 번역 실천을 수행했다. 번역시의 독자적인 가치를 중시한 김억은 시종일관 시 번역의 창조성과 개성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