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북 및 통일 정책 선호의 개인 성향과 가치 기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보-보수 정치이념 성향의 동기적 기반으로 상정된 가치의 경우 선행연구 결과가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슈워츠의 기본가치중 자기주도와 자극은 진보 정치이념 성향과 전통은 보수 성향과 예측대로 각각 관련이 있었으며, 탈물질주의도 예측대로 진보 성향과 관계가 있었다. 탈물질주의는 진보적 가치인 개방과 자기초월 가치와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고, 온정적 성차별주의를 제외하고 대부분 보수적 이데올로기 성향과 부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슈워츠의 기본가치보다 진보 정치이념 성향의 동기적 기반으로 더 타당한 가치로 보인다. 둘째, 보수 정치이념 성향을 동기적으로 뒷받침하는 개인 이데올로기 성향은 사회문화적(우익권위주의), 경제적(사회지배지향), 현상유지 선호(체제정당화...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영성형성과정 연구: 자기정체성과 자기초월을 중심으로
...형성하고 사회통합을 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영성의 자기초월적인 특징과삶의 통합의 특징을 자기초월과 정체성형성과 연결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이영성을 통해 정체성을 형성하고 사회통합을 이루도록 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자기정체성과 자기초월에는 초월자와 타자와의 관계성, 그리고 내면의 구심성과 원심성, 인간의 기본욕구의 조화와 관계가 있는 것을보았다. 이를 토대로 여성 명의 북한이탈주민 여성과 인터뷰를 하여 질적연구를 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의 영성형성과정의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 북한이탈주민 여성은 타인을 통해서 초월자하나님을 만난다. 두 번째, 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이 자기정체성을 형성하고자기초월을 하기 위해서는 북한문화를 재현할 수 있는 상황과 남한문화를습득하고...
[학술논문] 북한이탈 대학생의 심리사회적응과정에 대한 질적 메타합성
...결과 질적메타합성 분석결과, 북한이탈 대학생의 대학생활 심리사회적응 과정에 대한 경험의 본질은 실망과 좌절 속에서도 변치않는 미래를 향한 적응과 극복의 시간인 것으로 드러났다. 북한이탈대학생들의 적응과정을 크게 시간의 흐름에 따라 대학준비과정, 대학생활적응과정, 그리고 대학생활 적응 후로 나누고 각 시간대별 공통속성에 따른 도출결과를 분석하였다. 도출된 합성범주는 총3개로 1) 탈북민으로서의 한계상황인식, 2) 좌절과 불안을 느끼는 대학생활, 3) 자기초월을 통한 삶의 의미부여로 드러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북한이탈 대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심리지원과 학습지원 1:1 맞춤형 멘토링 서비스 등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향후 정체성과 관계성에 대한 보다 깊이있는 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