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여성의 남한에서의 자녀교육 경험에 관한 민속지학적 분석
This research is to study on the children educational Experience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in south Korea to Ethnography Methodology. A total of 15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were interviewed from June to July in 2013, to investigate the problems they face regarding their efforts to family lives and how these problems are interconnected.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in south Korea are complicated
[학술논문] 북한이탈여성의 청소년자녀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4단계방법을 따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여성의 청소년자녀 양육경험은 140개의 의미단위, 32개의 하위구성요소, 9개의 구성요소로 분석되었으며, 최종 도출된 구성요소는 ‘쉽지 않은 남한 사회로의 진입’, ‘남한사회적응의 어려움’, ‘과다한 양육부담 조건에 처함’, ‘남한의 자녀교육 현실에 부딪힘’, ‘가중된 발달진통 겪는 청소년 자녀양육의 어려움’, ‘다른 사회체제에서 양육역할전환의 어려움’, ‘내 자녀를 위한 부모역할 찾아가기’, ‘대처와 극복과정에서의 성장’, ‘아직도 남아있는 과제와 더 좋은 양육을 위한 바램’이었다...
[학술논문] 「조선녀성」에 드러난 북한의 가족과 자녀 교육에 관한 연구
...1998, 2003, 2008, 2013년 5개 연도에 걸쳐 48권 총 2,669편의 기사를 분석하고 북한의 가족과 자녀 교육 및 일상생활에 있어서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선녀성」은 2000년대 이후 발간 주기가 단축되고 지면이 늘어나면서 연간 편수가 증가했고, 2008년 이후의 자료에서 생활·문화 관련 기사들이 많아졌다. 목차 주제 분석 결과 최근으로 올수록 ‘사회문화’영역 기사의 비중이 높아지고 가족 및 교육 관련 기사의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내용 분석 결과 2000년대 이후 부부, 고부관계, 친족 기사가 증가하고, 자녀 출산의 의무와 보다 엄격한 자녀 교육이 강조된다. 식량 절약에 대한 언급은 지속되고 있으나, 의식주 생활 기사들은 점차 다양성과 삶의 질을 추구하는...
[학술논문] 탈북학부모의 자녀 학교교육참여 실태에 관한 연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6명의 탈북학부모를 대상으로 2015년 1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총 12회의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탈북학부모는 자녀의 학교교육참여에 여러 가지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우선 연구에 참여한 탈북학부모들은 자녀의 학교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용어를 이해하기 어려웠으며 북한에서의 교육 경험을 통해 자녀의 교육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학교와 교사에게 있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또한 북한과 달리 매년 달라지는 담임교사와 의사소통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탈북학부모는 자녀들이 탈북 청소년이라는 사실을 알리고 싶어 하지 않아함에 따라 자녀의 학교에 출입하는 것을 어려워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탈북 청소년이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탈북학부모의 자녀...
[학술논문] 재일동포사회를 통해서 본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방안 연구 ―자녀교육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