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여성의 부모밀치기서사 성향과 죄의식
...문학치료 프로그램 실행 결과를 보고하는 논의이다. 여기에서는 그녀에게 취약한지점으로 보이는 ‘부모밀치기’라는 자녀서사의 특성을 짚어 보고, 그로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생활 상의 문제들을 검토해 보며 향후 문학치료적 계획을 세워보았다. 그녀가 자녀적 존재로서 살아갈 때 우선적으로 작동되는 서사는 ‘약자를 휩쓸어버리는공포스러운 힘이 만연한 세상에서 자신을 완벽하게 보호해주지 못하는 부모는 나쁜 부모이고, 자기 욕망을 앞세우는 부모에 의해 나의 행복이 흔들릴 수 있으니 배척해야 한다’는 논리를 띠고 있었다. 그녀의 부모밀치기 성향의 자녀서사는 그녀의 삶 속에서 발견되는 여러지점들과 관련되어 있었다. 돈과 권력에 대한 집착이나, 탈북 이후에도 또 다시 이주를 고려하는 점은...
[학술논문] 탈북과 적응이 남긴 문제에 대한 문학치료학적 접근 - 적응에 성공한 탈북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
...뒤섞인 채 기억되고 있는 트라우마적 특징을 발견했다. 표면적인 성공에 가려진 내밀한 상처를 짚어내었으며, 자신도 미처 정리하지 못한 과거의 한(恨)과 현재 삶에 대한 불만이 문학치료 활동을 통해 드러난 것이다. 이에 본고는 자신이 경험한 고난에 대한 정당한 평가와 더불어, 탈북민의 애환으로 전치된 부모님에 대한 반감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하고, 자녀서사 설화에 대한 온전한 이해로서 그 해결의 실마리를 마련할 수 있다고 전망하였다. 이 연구는 적응 후에도 여전히 존재하는 탈북민의 상처에 대한 학적 관심을 시도한 논의로 기존의 탈북 후 적응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다루는 데 경도되었던 연구의 영역을 넓힌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탈북과 적응 후에 남겨진 문제가 내면의 강점이나, 진로에 대한 확신만으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