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과의 관련성
본 연구는 북한이탈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의 관련성 및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며, 2014년 1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북한이탈여성 총 20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4점 만점에 2.40점으로 조사되었다. 외모관심도는 5점 만점에 3.20점이며, 외모관리 행동은 5점 만점에 2.67점으로, 대상자들은 메이크업과 의복관리 행동을 많이 하지만 운동, 섭식 행동은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심도는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외모관리행동에서는 외모관리 하위 영역별 차이는 있으나, 연령, 성형관심도,...
[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수로 활용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청소년들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북한이탈청소년 126명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통해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0.30, p=.003)에는 유의미하게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0.41, p<.001)에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직접효과는 없지만, 자아존중감을 통한 간접적인 효과는 유의한 영향(LL 95% CI –0.093...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표현과 치유 - <북한이탈주민의 인문학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인문치료는 탈북 트라우마와 남한 사회의 적응 과정에서 오는 심리적 문제들을 지닌 북한이탈주민에게 인문학의 자료를 매개로 자기표현을 하게 함으로써, 자아정체성, 자기 존중감과 행복한 삶에 대한 의지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되었다. 본고의 목적은 인문치료에서의 글쓰기와 말하기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표현과 치유 표현 양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인문치료의 글쓰기와 말하기 중심의 언어 표현과 표현예술치료의 비언어적 표현을 비교하였고, 표현주의 쓰기이론과 인문치료 글쓰기의 관련성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인문치료의 글쓰기를 말하기와 비교하였고 치유의 글쓰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인문치료 말하기의 소통구조를 고찰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글쓰기와 말하기를 통해서 북의 가족과 사람들에 대한 죄책감...
[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의 우울,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에 따른 건강증진생활 연구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의 우울,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과 같은 사회심리적 측면을 중심으로 건강증진생활양식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며, 특히 성인에 비해 정신적으로 성숙하지 못한 청소년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북한이탈청소년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대상에서 제외된 설문지 65부를 제외한 85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 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 자아, 학교 자아, 스트레스가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 심리적 요인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이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성장을 조사하여, 심리적 특성에 따른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B시와 G시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145명으로 2016년 2월 1일~3월 10일까지 외상 후 성장, 사건 충격척도, 외상적 반추, 자아존중감, 적응유연성을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성장은 평균 29.64점이고, 여성인 경우, 종교가 있는 경우, 외상적 반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