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50~70년대 ‘사상계’ 지식인의 분단인식과 민족주의론의 궤적
...수식어가 붙었고, 종속적 위치에 있기는 했지만 파시즘 독재에 대한 비판이 뒤따랐다. 그러한 면에서 그들의 냉전인식은 극우 반공주의와 구별되는 반공 자유주의로 대변되었다. 그런데 사상계 지식인들의 자유세계론은 그들의 후진성 콤플렉스와도 관련하여, 서구적 보편에 대한 특수의 자리를 좀처럼 허락하지 않았다. 그래서 독자노선으로 등장한 아시아적 제3세력론을 비판하였다. 그것은 민족주의 담론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어서, 자유세계라는 보편에 민족이라는 특수가 들어설 자리는 거의 없었다. 이 시기 그들의 민족주의는 자유세계론에 밀려나고, 공산 치하에 있는 이북 동포를 동류의식의 대상에서 배제시킨 반쪽자리 불구의 민족주의였다. 1950년대 말 분단 상황의 특수성을 앞세운 이승만 정권의 반공 독재가 전면화하면서, 사상계 지식인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