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계/탈경계의 단계별 유형화를 위한 시도: 자율적 삶을 추구하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례연구
...북한이탈주민은 남한에서 크고 작은 성취를 통해 남한사회의 일원으로 수용 혹은 안정된 삶으로 통과하는 과정을 거치다가도 ‘북한에서 왔다는 것’이 문제가 되는 순간 일상의 흔들림을 겪는다. 북한이탈주민은 그 자신이 처한 구조적 위치를 자각하며 남북한 경계 사이에서 탈경계의 지점으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그 어디에 소속되지 않아도 오롯이 온전한 사람, 외롭지만 자유롭게 되는 것이다. 경계와 탈경계를 나누는 결정적 단초는 두 문화가 자신에게 강요하는 규범을 벗어나 자신만의 기준으로 세상을 바라본다는 점에 있다. 본 연구는 자신의 기준으로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자 하는 북한이탈주민의 자율의지를 훼손하는 것은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콜버그의 도덕발달 개념을 사용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이야기를 분석한다.
[학위논문] 냉전기 북한의 자주연대 외교 연구 : 북한-베트남-쿠바 연대 외교를 중심으로
...위기 상황에서 방어적 차원의 소규모 폭력이 더 큰 충돌을 예방해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시키는 전략으로 규정하고 이것이 종국적으로는 대화 가능성으로 연결될 수 있음에 주목했다. 자주연대는 냉전기 북한의 제3세계 외교에 큰 성과를 얻게 만든 기초이자 소중한 외교적 자산이었다. 자주연대는 북한의 제3세계관을 강화·발전시키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북한의 제3세계 외교 강화·발전은 주변 강대국 외교에서 북한이 자주권을 가진 자율적 행위자로 인식되게 만들었으며 이들 과의 관계에서 일정한 이니셔티브와 정치적 지렛대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했다. 북한의 대제3세계 외교 강화·발전은 북한이 중소를 넘어 진정한 혁명국가 및 국제주의자로 인정받게 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학술논문] 공산주의의 몰락 이후 진정성의 윤리: 김영하의 『빛의 제국』 읽기
...이후;한국 작가들은 ‘탈이데올로기’ 사회의 도덕적 혼란과 대면하면서 개인의 자아 찾기에 주의를 기울였다. 2006년에 출간된 김영하의 장편소설 『빛의 제국』은 진정성 서사라는 면에서 출중하다. 북한으로의 귀환과 남한으로의 귀순이라는 삶의 기로에 선 그 김기영이라는 간첩 이야기는;공산주의의 환멸과 자본주의의 매혹 사이에서 자아 찾기란 어떻게 가능한가 하는 물음에 대한 진지하고;흥미롭고;도전적인 답변을 이룬다. 그것은 실존/연기 대립을 폐기하며 개인의 자기창조를 인식하는 한편;진정성을 자유주의적 통치성과의 대립 관계 속에 배치한다. 그러나 김이 도달하는 세계와의 화해는 통치 권력과의 타협과 동일하다. 진정성의 이상이 자율적인 자아 창조라면;그의 진정성의 추구는 미완일 수밖에 없다. 자유주의적...
[학위논문] 북한 조선소년단에 관한 연구 : 사회통합기제로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 '고난의 행군' 시기 이후 북한 사회 및 교육 환경 에는 의미 있는 변화들이 발견되고 있다. 무엇보다 그 동안 사회주의의 상징이라고 인식되어 오던 배급제가 붕괴되면서 당의 권위와 통제력은 약화되고, 생계유지를 위한 장사가 활성화되면서 여 행 및 이동의 통제가 이완되었다. 그 결과 북한 주민들의 문화접변 기회가 증가하고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자아의식이 증가한 반면에, 빈부격차가 심해지고, 사회적 일탈이 증가하였으며 무상의무교육제도가 실질적으로 폐지되기에 이른 다. 이러한 변화들로 인해 개인주의가 심화되고 남한 및 외부 세계에 대한 인식 이 변화하는 한편 체제에 대한 자긍심이나 당과 지도자에 대한 충성심은 약화 되는 방향으로 북한 주민들의 사회의식이 바뀌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북한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