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한ㆍ북한ㆍ중국 조선족의 표준 발음법 비교 연구
...조선족의 표준 발음법의 차이는 주로 그 발음법 구성상의 차이, 총칙의 차이, 모음의 발음과 자음의 발음의 차이 등이다. 남북한과 중국 조선족의 표준 발음법의 구성을 보면, 모두 자음, 모음과 관련된 발음, 받침과 관련된 발음, 동화 현상에 관련된 발음, 경음화 현상에 관련된 발음, 사잇소리 현상에 관련된 발음 등과 같은 내용이 있다. ‘음의 길이’에 관련된 내용은 남한과 북한이 있고 중국 조선족은 없다. 단어 첫소리 ‘ㄴ, ㄹ’의 발음과 관련된 규정은 북한과 중국 조선족이 있고 남한이 없다. 총칙의 차이는 주로 표준 발음의 기준, 즉 표준어의 기준 차이에 있다. 남한은 현대 서울말을 표준 발음의 기준으로 하고 북한은 평양말을 표준 발음의 기준으로 하며 중국 조선족은...
[학술논문] 남북한 교과서로 본 말소리 교육 비교
본고의 목적은 남한과 북한의 교과서를 중심으로 말소리 교육을 비교하고 방법적 측면에서의 차이를 살피는 것이다. 우선 말소리의 단위와 관련하여 남북한 모두 자음 19개와 모음 21개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없지만 남한은 분류 기준에 따른 음운의 체계화에, 북한은 발음의 차이에 따른 말소리의 구분에 중점을 두고 있다. 말소리의 변동 역시 내용의 큰 차이는 없지만 남한은 기저형과 표면형 간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음운 변동을, 북한은 표기와 발음 간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음운 변동을 주로 제시하고 있다. 결국 남북한 말소리 교육은 다루고 있는 교육 내용뿐만 아니라 방법적 측면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통일 시대 말소리 교육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문법 교육의 실용성을 강조하고, 실제적인 말소리에 주목하고 있는 북한의...
[학술논문] 남북의 외래어 표기 비교 연구 -외국 국가명 표기를 중심으로-
이 연구는 남북의 외국 국가명의 표기를 비교함으로써 남북 간의 외래어 표기방식의 차이를 밝히고 그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남북 각각의 현행 표기로서 합리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자료에기반하여 외국 국가명의 외래어 표기 대조 목록 186건을 수집하였다. 남북의 외국 국가명의 표기가 완전히 동일한 경우는 전체 중 약 44%로, 남북이 각자의 외래어 표기법을 따르는 경우 동일한 표기가 나타났다. 한편 일부자음이나 모음의 표기가 상이한 경우는 전체 중 약 47%로, 일부 자음의 표기가상이한 경우, 일부 모음의 표기가 상이한 경우, 일부 자음과 모음의 표기가 상이한 경우로 분류할 수 있었다. 남측에서는 외래어 표기법이 정연하게 적용되나,북측에서는 북측의 외래어 표기 규정이 실제...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대상 한국어 발음 양상 및 인식 연구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국어 발음 실현 양상 및 인식을 분석하여 이들을 위한 발음 교육 지원 및 발전 방안을 논의함으로써 북한이탈주민의 한국 사회 정착을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에 북한이탈주민 7명, 이들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 및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 9명을 통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남북의 발음 차이, 남한 정착의 어려움 및 한국어 발음 교육의 필요성 등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북한이탈주민들은 한국 언어생활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이는 ‘한자어와 외래어 사용, 억양 차이, 단어 차이, 언어예절과 화법 차이, 발음 차이, 심리적 위축감’이 원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어 발화 차이는 자음과 음운규칙에서 크게 나타났고...